[ 부자동네타임즈] 정국을 흔들어 왔던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가 어떤 식으로든 정리될 모양이다. 새누리당은 7일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유 원내대표 사퇴권고 결의안 채택을 위한 의원총회를 8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유 원내대표도 의총 결정대로 따르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와 '배신의 정치 심판' 언급 이후 촉발된 청와대와 여당, 여당 내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계 간의 갈등이 새누리당 의총을 계기로 표면적으로는 일단 수습될 가능성이 커졌다.
박 대통령의 유 원내대표 등을 겨냥한 강한 언급 이후 진행된 여권의 내부 분란은 국민에게 큰 실망을 안겨준 것이 사실이다. 내 편 네 편으로 나눠 권력 다툼 양상으로 싸웠고, 최고위원 공식회의 석상에서 막말과 고성이 오가고 욕설까지 나오는 볼썽사나운 장면도 연출했다. 승자는 없고 패자만 있는 상처뿐인 분란이었다. 이 모든 일은 여권 스스로 자초한 것이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직후 새누리당은 5시간에 걸친 마라톤 의총을 열어 '국회법 개정안 자동폐기, 유승민 재신임'이라는 결론을 사실상 도출했다. 김무성 당 대표는 "의원들의 생각도 존중돼야 한다"면서 유 원내대표 사퇴 주장을 한때 일축하기도 했다. 그러나 친박계의 압박이 계속되고, 국회법 개정안 재의 사태에 대한 원내대표 책임론이 다시 부각되는 쪽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다. 결국 유 원내대표를 재신임한 지 보름도 안 돼 이번에는 그의 사퇴를 압박하는 의총을 다시 열기로 하는 모양새를 연출하게 됐다.
여권의 자중지란이 탈출구를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의총 개최를 통한 해법 모색은 어쩌면 갈등 당사자 모두에게 수습 명분을 줄 수 있는 선택일 수 있다. 사퇴의 명분을 찾을 수 없다는 유 원내대표도, 무조건 나가야 한다는 친박 쪽도, 여기서 밀리면 안 된다는 비박계도 의총 결과를 수용해야 한다. 유 원내대표에 대한 박 대통령의 불신이 확고하고 최악의 파국은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 상황에서 이번에는 유 원내대표가 재신임될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는다. 그렇지만 의총 결과가 여권 내분을 완전 종식시킬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표면적인 갈등 봉합과는 별개로 내년 4월 총선 공천권을 장악하기 위한 사생결단식 계파 다툼이 가열되지나 않을지 우려스럽다. 새누리당 의총이 여권의 분란을 종식하고 집권세력에 대한 희망을 국민이 버리지 않게 만들 솔로몬의 해법을 도출해야 한다. 패자만 있는 것으로 정리되고 있는 이번 게임의 마무리 만이라도 잘해야 한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