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월호 참사 1년 아직도 씻지 못한 갈등과 아픔

부자동네타임즈 / 2015-04-16 17:56:58

[부자동네타임즈 ]세월호 참사 1주년인 16일 박근혜 대통령이 진도 팽목항을 직접 찾아가 희생자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이 줄곧 요구해온 선체 인양을 공개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애통과 기다림의 상징이 돼버린 팽목항 방파제에서 대국민 발표문을 통해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에 선체 인양에 나서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6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한 것에서 진전된 발언이다. 박 대통령은 배·보상 문제도 "제때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쟁점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의지를 밝혔다. 유족들이 폐지를 요구해온 세월호특별법 시행령과 관련해서는 "국회에서 '세월호특별법'이 제정됐고 이에 따라 민관 합동 진상규명 특별조사위가 출범해 곧 추가적인 조사가 진행될 것"이라고 원론적 입장만 언급했다.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직접 주재한 현안점검회의에서 '원만한 해결'을 지시해 시행령안의 수정 가능성을 열어놨다고는 하지만 유족들의 마음을 돌려놓지는 못했다.



박 대통령이 팽목항을 찾은 것은 지난해 5월 이후 11개월여 만이다. 박 대통령은 중남미 4개국 순방길에 오르기에 앞서 세월호 참사로 악화된 민심을 수습하고 세월호 가족들에게 진정성 있게 위로와 추모의 뜻을 전할 방법을 놓고 많은 고민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이 민간 주최 추모행사에 참석한 전례가 없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안산 정부합동분향소 분향식과 코엑스에서 정부로 주최로 열린 국민안전의 날 다짐대회에 불참하고 팽목항으로 향한 것도 그런 배경에서다. 박 대통령은 당초 사고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팽목항 분향소에서 헌화·분향한 뒤 희생자·실종자 가족들을 만나 위로하고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대통령의 방문 소식을 들은 희생자·실종자 가족들이 팽목항 분향소를 폐쇄하고 현장을 떠나버리는 바람에 대국민 메시지로 통합과 화해를 모색하려던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4·16 가족협의회도 안산 정부합동분향소에서 열 예정이던 합동추모식을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이완구 국무총리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일행이 합동분향소를 찾았지만 유가족들의 항의로 조문하지 못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다. 문재인 대표를 비롯한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의원 110여명이 합동분향소를 방문해 헌화하고 묵념하는 장면과 대조됐다. 국회에서는 이날 여야 의원들이 모처럼 뜻을 모아 '세월호 인양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팽목항을 찾은 대통령이 희생자·실종자 가족들의 보이콧으로 분향소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발길을 돌린 것이나 안산 합동분향소에서 벌어진 어색한 장면은 세월호 참사 1년이 지나도 씻지 못한 갈등과 아픔을 그대로 보여준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가족들이 짊어지고 가야 할 고통의 무게에 마음이 무겁고 아프다면서 "고통에서 벗어나셔서 용기를 갖고 살아가길 바란다"며 일상으로 복귀할 것을 호소했다. 세월호 희생자·실종자 가족들은 세월호 인양과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 폐기를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박 대통령이 선체 인양을 공개적으로 약속한 만큼 남은 쟁점 해결도 그다지 어려워 보이지 않는다. 세월호 참사 1주년에 전국민적 추모의 진정한 의미는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고 가족들에게는 위로와 희망을 주는 데 있을 것이다. 갈등과 분열을 확대하기보다는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기위해 안전 대한민국의 기초를 다지는 데 온 힘을 쏟아야 할 때다.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겠다며 발의된 법안의 76%가 국회에서 낮잠을 자는 현실은 씁쓸하기만 하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