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5년새 31% 증가…"봄 산행 골절사고 조심"

전형득 기자 / 2015-03-29 12:00:24
여성이 남성보다 13.4배 많아…'적절한 햇볕쬐기' 예방에 도움


[부자동네타임즈 전형득기자]  뼈의 강도가 약해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골다공증 환자가 최근 5년 사이 31.4%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환자는 가벼운 부딪힘에도 골절 부상을 당할 수 있어 봄철 산행을 나갈 때에는 낙상사고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따르면 골다공증(질병코드 M80~82)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8년 61만4천명에서 2013년 80만7천명으로 크게 늘었다.

그 사이 골다공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1천404억원에서 1천738억원으로 23.8% 늘었다.

진료 인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많았다. 2013년 여성 진료인원은 75만1천명으로 남성(5만6천명)의 13.4배였다.

골다공증은 골량(뼈에 함유된 칼슘의 양)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으로 뼈가 부러지기 쉬운 상태다. 보통 골량은 20대 중반~30대 초반 가장 높지만 50세가 넘어가면서 적어진다.

환자수 역시 50대 이후 급격히 늘어난다. 2013년 여성 환자수는 40대는 549명이었지만 50대와 60대, 70대는 각각 4천52명과 1만3천413명, 1만5천58명이었다.

골다공증은 그 자체로 발생하는 증상은 없지만 작은 외력에도 골절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엉덩방아를 찧거나 손을 짚는 정도로도 손목, 척추, 고관절 등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고관절 골절의 경우 골절 후 1년 이내 사망률이 40%까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특히 주의해야 한다.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는 비타민D와 칼슘 등의 영양소 섭취가 도움이 된다. 비타민D는 칼슘의 흡수를 도와 골질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연어, 고등어, 달걀 노른자 등 음식을 통해 섭취할 수 있지만 햇빛 노출을 통해 피부에서 생성되기도 한다.

칼슘은 멸치, 우유, 뱅어포 등의 음식을 통해 섭취할 수 있으며 부족하면 약물을 이용해서 보충할 수 있다.

곽홍석 서울대병원(정형외과) 교수는 "비타민D와 칼슘 섭취도 중요하지만 골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이 필수적"이라며 "하루 30분 가량 약간 숨이 찰 정도로 운동을 하면 뼈에 적절한 자극이 되고 균형 감각도 개선돼 낙상과 골절의 위험이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8~2013년 골다공증 건강보험 진료현황>

(단위: 명, 억원)

┌──┬────┬────┬────┬────┬────┬────┬───┐

│구분│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연평균│

││││││││증가율│

├──┼────┼────┼────┼────┼────┼────┼───┤

│진료│614,397 │688,257 │743,966 │773,314 │789,708 │807,137 │ 5.6% │

│인원││││││││

├──┼────┼────┼────┼────┼────┼────┼───┤

│총진│ 1,404│ 1,535│ 1,651│ 1,687│ 1,690│ 1,738│ 4.4% │

│료비││││││││

└──┴────┴────┴────┴────┴────┴────┴───┘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