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자동네타임즈]일본은 역사왜곡을 멈춰야 한다. 일본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에 신청한 '메이지시대 산업혁명 유산' 23개 시설 가운데 11곳은 일제 강점기 때 6만 명에 가까운 조선인들이 강제 징용돼 가혹한 노동과 학대에 시달리다 숨졌던 곳이다. 끔찍한 인권 유린이 일어났던 현장이 유네스코에 버젓이 산업근대화 유산이라는 이름으로 둔갑할 위기에 처해 있다.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일본이 ‘메이지 일본 산업혁명 유산’이라는 이름으로 신청한 규슈·야마구치 지역 23개 산업시설에 대해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에 강력 항의, 한국과 일본은 어제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2차 양자 협의를 가졌다. 우리 정부는 세계유산위원회가 등재 결정문 원안에서 이미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하라"고 일본에 권고하고 있는 만큼 이를 실현할 구체적 방안이 담보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체 역사' 권고는 일본이 등재 신청 시 한정한 시기(1850∼1910년)를 넘어서 1940년대에 집중됐던 조선인 강제노동을 가리킨다는 게 우리 정부의 인식이다. 정부는 일본이 등재 신청한 산업시설 중 강제노동이 이뤄진 7곳이 세계유산에서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아니면 별도 기념물 등의 형태로 드러내는 방안 등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본은 전향적 태도로 권고 이행에 대해 실행하길 바란다. 오죽하면 일본 지식인 281명이 올 8월 발표될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에서 침략 피해국에 대한 사죄와 반성이 담겨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겠는가. 아베 정권은 역사 왜곡 중단을 촉구하는 자국 내 진심어린 목소리를 가감 없이 듣는 데서 한·일 신시대가 열릴 수 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