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타임즈 김인수기자] 서울시와 서울디자인재단이 패션산업과 소비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해 2017년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허브를 구축했으며,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허브는 2018년부터 국내외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 주체와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과 담론화를 위한 국제 서밋으로 ‘지속가능패션 서밋 서울’을 매년 개최하고 시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 운영하고 있다.
이번 ‘지속가능패션 서밋 서울 2019’에서는 글로벌 이슈인 지속가능성 패션의 혁신적인 사례를 공유하고 토론할 예정이며. 컨퍼런스와 더불어 14일부터 17일까지 크레아 FAB-WORK에서는 DESIGN LIFE, DESIGN FUTURE 그리고 DESIGN SUSTAINABILITY 섹션으로 구성된 전시와 함께 제로웨이스트 워크샵이 진행된다.
파츠파츠(PARTsPARTs)
파츠파츠는 옷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여 디자인 방식부터 패턴, 생산 방식에 이르기까지 독창적인 프로세스를 개발하여 ‘네오프렌’이라는 단 하나의 소재를 사용해 디자인할 때 소매, 옷깃 등 각 부분을 레고블럭처럼 딱 맞게 그려 소재의 낭비와 생산과정을 최소화하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디자인 철학을 추구한다.
파츠파츠에서는 봉제나 접착, 시즌성에 있어서 제약이 많은 네오프렌의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두께를 조정해 시즌별 소재를 개발하고 다양한 컬러 레인지와 필름 패치, DPT 기법 등을 사용하는 등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
지속가능패션 서밋 서울 전시
10월 14일부터 17일까지 크레아 FAB-WORK 공간에서 진행되는 전시는 비비드한 단일 컬러가 주는 힘을 이용해 시각적 감흥 외 감성적 공감까지 이끌어낸다. 전시에 사용되는 자재들은 최대한 재활용, 재사용이 가능한 지속가능한 자재들을 사용한다. 세 개의 독립적인 공간은 그린, 블루, 레드 각각 다른 컬러와 테마로 구성되지만 모두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해 볼 수 있는 물음표와 느낌표를 던지게 하는 공간이다.
파츠파츠는 랩실이라는 주제로 시그니처이자 포인트 컬러인 레드를 사용하여 강렬하고 시각적 자극을 이끌어낸다. 파츠파츠의 제로웨이스트 공정을 연구하는 실험실의 개념으로 구성돼 다양한 도구들과 함께 곳곳의 레드 컬러를 찾는 즐거움도 제공한다. 각각의 레드 컬러 패턴들이 하나의 의류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체험을 통해 설명하고 이해를 돕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대 우리 생활에서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의류’에 지속가능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속가능패션 서밋 서울 워크샵
전시 한쪽에서는 지속가능 제로웨이스트 철학을 공유하며 실험하고 확장하는 워크샵이 15일, 16일 이틀간 하루 1~2회씩 진행된다. 재사용 가능한 leftover 피스와 디자인 필름 피스를 활용한 접착 방식으로 티셔츠, 에코백 디자인 실험의 프로그램이다.
참여자들은 파츠파츠의 공정을 체험해 보며 지속가능한 패션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다. 지속가능패션 서밋과 파츠파츠의 SNS나 홈페이지 내 프로그램 공고에 링크된 온라인 신청서로 접수가능하며 프로그램별 선착순 15명이다.
지속가능패션 서밋 서울 컨퍼런스
‘2018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포럼’에 이은 두 번째 국제 서밋으로 패션혁신을 주제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국내 지속가능패션의 변화와 발전을 모색하는 자리다.
10월 16일, 17일 양일간 진행되는 컨퍼런스에서 파츠파츠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임선옥 디자이너는 첫날인 16일 섹션 2에 참여한다. 인간, 기술의 조화라는 주제로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패션산업의 변화와 인간, 기술의 조화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는 패션을 공유하고 패션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토론을 한다. 컨퍼런스는 사전 또는 당일 접수가 가능하며 참가비는 무료이다.
한편, 소다미술관이 기획한 <디자인스펙트럼 : 패션디자인 by 파츠파츠 임선옥>의 전시디자인이 ‘2016 레드닷 어워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