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
제22대 국회 ‘혁신의 때’가 다가온다. 국민들은 지난 21대 국회에서 야당에 거대 의석을 밀어줬건만 정권을 넘겨주고 흐지부지 세월만 지나 혁신과 개혁은 물거품이 됐다.
거기다 윤석열 정권은 ‘무능, 무지, 무도’로 국정은 마비되고 정치는 혼돈의 도가니로 빠져 물가는 치솟아 생활은 핍박해지면서 나라 곳곳에서 아우성이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한가닥의 희망과 기대를 붙잡고 또다시 야당에 거대 의석을 안겨주며 6선의 관록을 지닌 ‘추미애(당선인)’ 전 법무부 장관을 혁신의 ‘적임자’로 치켜세우고 있다.
추 당선인은 17일(수)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제22대 국회의장 질문에 “역할이 주어진다면 거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추 당선인은 “제가 대선, 지선, 또 두 번의 선거를 모두 승리로 이끌었고, 역사상 처음으로 당대표 2년 임기를 무사히 마쳤다”며 “혁신 의장의 역할을 많이 기대해 주시기 때문에 역할이 주어진다면 거부하지 않겠다”고 국회의장 출마를 시사했다.
앞서 추 당선인은 “대파가 좌파도 우파도 아니듯 국회의장도 좌파도 우파도 아니다. 그렇다고 중립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립은 그냥 가만히 있는다든가 하는 것”이라며 “입법 자체의 대의기구로서 혁신과제를 어떻게 받드느냐의 문제인 것이지 여당 말을 들어주느냐, 야당 손을 들어주느냐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여운을 남겼다.
특히 국회의장 도전에 대해 “각종 개혁입법에 대해 지난 국회에서는 대통령 거부권으로 제지당한 바 있다”며 “선거의 의미가 대통령을 강하게 심판하는 것도 있다. 그래서 혁신 의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있었다. 그런 의회의 혁신적 과제에 대한 흔들림 없는 역할을 기대하신다면 주저하지는 않겠다는 마음”이라고 거듭 밝혔다.
추 당선인은 문재인 정부 법무부 장관 시절 당시 검찰총장이던 지금의 윤석열 대통령과 갈등으로 세간의 화제를 모으며 강한 이미지를 통해 ‘대척점’에 섰던 선명성이 뚜렷한 인물이다.
그런 그가 22대 총선(하남시갑) 승리로 이끌어 국회로 다시 돌아왔다.
새롭게 개원되는 국회는 해결해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다. 그래서 강력한 리더십과 당원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는 관록 있는 사람이 의장직을 수행해야 한다는 여론이 당원들 사이에서 주를 이루고 있다.
22대 국회는 ‘채상병 사망, 대장동 50억 클럽,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등 특검법이 통과가 '백척간두'에 서있다.
게다가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양곡관리법. 간호법. 이태원 특별법, 노란봉투법. 방송3법 등 개혁 입법들이 재상정을 기다리고 있다.
거기다 1인당 25만원을 지원하는 ‘민생회복지원금, 신용사면, 전세사기 특별법, 가맹사업법’ 등 반드시 처리해야 할 민생입법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22대 국회에서 의장의 강력한 ‘추진력’이 필요하다.
이로써, 제22대 국회 ‘혁신’과 ‘개혁’입법 완성을 위한 제2대 민주당 대표, 여성 최초 6선의 관록으로 ‘선명성, 방향성, 구심점’을 갖춘 추미애 당선인이 ‘국회의장 적임자’로 안성마춤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