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밀의료.png |
(서울=포커스뉴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개인 맞춤의료를 실현하고,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정밀의료 기술개발’을 본격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정밀의료 기술개발 계획은 같은 날 개최된 대통령 주재 과학기술 전략회의에서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정밀의료는 유전체 정보, 진료·임상정보, 생활습관정보 등을 통합 분석해 환자 특성에 맞는 적합한(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진료의 정확도와 치료 효과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이다.
정밀의료가 실현되면 환자는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과 의약품을 처방 받게 돼, 치료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미래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측해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복지부는 우선 정밀의료 기술 기반 마련을 위해 일반인 최소 10만명의 유전정보, 진료정보, 생활환경·습관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축적하는 ‘정밀의료 코호트’를 구축키로 했다.
또 축적된 연구자원을 연계·분석해 기업체, 병원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 자원 연계·활용 플랫폼’을 구축(Hub-Spoke 모델)하고, 병원에서 정밀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차세대 병원 의료정보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직장인, 신고령층(Digital Seniors),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성질환 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 및 첨단 모바일 기기’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의사의 진단·치료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반 진단·치료 지원 시스템’도 개발키로 했다.
정밀의료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정밀의료 특별법’을 제정해 종합적·체계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정밀의료 기술이 개발되면 2025년 기준으로 건강수명이 3년 연장(73세→76세)되고, 현재 절반 수준으로 의료비 증가율이 감소(7%→3%) 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건복지부 이동욱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정밀의료는 미래 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 산업”이라며 “연구·산업화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종합적·체계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사진출처=보건복지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