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위안부 피해자 고통에 다시 상처 주는 반인권"
![]() |
△ 무더운 날씨 속 집회 참가한 이옥선 할머니 |
(서울=포커스뉴스) 일본과의 위안부 합의에 따른 재단(화해·치유 재단)이 출범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29일 더불어민주당은 "박근혜정부의 부끄러운 기록으로 남게 될 것"이라며 12·28 한·일 합의 무효화를 주장했다.
송옥주 더민주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화해·치유 재단이 결국 수많은 논란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출범했다"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한과 피눈물을 외면한 채 엉터리 재단을 출범시킨 박근혜정부의 행태에 거듭 강한 유감을 표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에 면죄부를 준 '12·28 한·일 합의'는 강한 국민적 저항에 부딪혀 그 실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라며 "일본과의 졸속적이고 굴욕적인 합의를 관철하려는 박근혜정부의 역사의식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송 대변인은 "화해와 치유는 엉터리 재단 설립이 아니라 일본 정부의 진실한 사과, 국가범죄 및 불법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 인정으로 가능하다"면서 "화해·치유재단은 박근혜 정부의 부끄러운 기록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의당 역시 위안부 화해·치유 재단 출범을 규탄했다.
한창민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을 통해 "수많은 논란과 반대에도 이를 강행한 정부의 독단적 태도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의 고통에 다시 상처를 주는 화해·치유재단의 출범 강행은 반역사적이고 반인권적이고 반민주적"이라고 지적했다.
한 대변인은 "진정한 화해와 상처의 치유는 강요로 이뤄지지 않는다"며 "일본 정부의 진심 어린 사과와 책임 있는 실천이 있어야 용서, 화해, 치유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날(28일) 한국과 일본의 위안부 합의에 따른 '화해·치유재단'이 일부 시민사회단체의 반대 속에 공식 출범했다.
한·일 위안부 합의에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여 이날 '화해·치유재단' 출범을 규탄하면서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서울=포커스뉴스)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화해·치유재단 설립을 강행하는 정부를 규탄하는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및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집회가 열리고 있다. 2016.07.25 성동훈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