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7의 힘" 평가…IM사업부만 영업익 4조3200억원
![]() |
△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8.1조 |
(서울=포커스뉴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 8조1400억원, 매출액 50조9400억원을 올렸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18%, 전기보다 22% 증가한 것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5%, 전 분기보다 2% 각각 성장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2014년 1분기 이후 9분기만에 다시 8조원대의 영업이익을 내놨다.
삼성전자는 IM(IT·모바일) 사업부에서 사업부 영업이익 4조32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IM사업부에서 2014년 2분기(4조4200억원)을 이후 2년만에 4조대의 영업이익을 내놨다.
갤럭시S7과 갤럭시S7엣지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실적이 대폭 증가했다고 삼성전자 측은 설명했다.
특히 갤럭시S7 제품군 중 엣지 판매 비중이 50%를 웃돌았고, 갤럭시 A/J 시리즈와 같은 중저가 스마트폰의 수익성이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면서 IM사업부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해온 모델 효율화와 지속적인 제품 경쟁력 강화 노력이 올해초부터 효과가 가시화 됐다"며 "2분기 연속 전년 대비 개선된 실적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CE(소비자가전) 부분에서는 매출 11조5500억원, 영업이익 1조300억원을 기록했다. TV와 생활가전 모두 전년 대비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호실적을 이끌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TV의 경우 신제품 본격 출시와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특수 효과로 SUHD TV와 커브드 TV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확대됐다"며 "생활가전 역시 셰프컬렉션 냉장고 등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는 모바일과 SSD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20나노 D램과 V-낸드, 14나노 모바일 AP 등의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을 통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2분기 반도체는 메모리와 시스템LSI 모두 견조한 실적을 달성하며 매출 12조원, 영업이익 2조6400억원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 사업부도 14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흑자 전환했다. 디스플레이 사업부는 전 분기 영업손실 2700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디스플레이는 LCD(액정표시장치) 수율(불량없는 양산율)이 안정화되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가동률이 증가한 덕분에 실적이 호전됐다.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 개선은 IM, CE 등 세트사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부품사업이 모두 차별화된 핵심 경쟁력을 바탕으로 각 부문에서 선전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하반기에도 견조한 실적이 지속될 것으로 삼성전자는 전망했다. 삼성전자 측은 "세트사업은 신제품 출시 확대 등으로 마케팅비용 증가가 예상되나, 전년 대비 실적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3분기는 부품사업이 메모리와 LCD의 수급이 개선되는 가운데 OLED 실적이 견조한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세트사업은 CE가 비수기 영향을 받는 가운데, IM이 신제품 출시와 시장 경쟁 심화로 인해 마케팅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2016.07.07 오장환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