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공공.jpg |
(서울=포커스뉴스) 가상 저장공간인 클라우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공공기관은 정부의 기관 평가 시 높은 점수를 받을 전망이다.
행정자치부는 클라우드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클라우드 도입에 적극적인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올해부터 기관평가 시 가점을 부여한다고 26일 밝혔다.
행자부는 공공기관 정부3.0 실적평가 시 올해에는 클라우드 이용계획에 대해 총 3점의 가점을 부여하고, 내년부터는 정식으로 정부3.0 평가지표에 클라우드 부문을 추가해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에 충분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번 조치가 클라우드컴퓨팅법 및 K-ICT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 등으로 시작된 공공부문의 선제적인 클라우드 도입·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행자부는 정부3.0 평가 시 총 100점의 정부3.0 평가점수에서 공공기관이 2017년에 클라우드를 도입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할 경우 추가적으로 총 3점의 가점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행자부는 내년부터 정부3.0평가지표에 클라우드 활용성과를 정식배점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어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이용은 점점 더 확산될 전망이다.
이번 조치로 공공기관들 스스로 각자 다양한 업무 영역과 특성에 따라 클라우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등 클라우드 이용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정부와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활용이 확대되면, 공공부문 클라우드 시장 규모도 커져 관련 산업계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서석진 미래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클라우드로의 전환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필수적인 준비이며, 신산업 분야 신성장 동력을 견인하는 기초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행자부가 정부3.0 클라우드 평가지표 반영을 조기에 관철시킴으로써 공공부문의 선제적인 클라우드 도입이 더욱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올해 공공기관 정부 3.0평가 계획.<표제공=미래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