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코트라가 해외 시장별 악재와 호재를 진단하고 기회요인을 소개했다.
코트라는 2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수출시장 긴급진단 설명회'를 개최하고, 중국·미국 등 주요시장을 점검하면서 이에 따른 우리수출 확대해법을 제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코트라 중국·미국·유럽 지역본부장과 런던·오사카·호치민 무역관장이 참석해 생생한 해외시장 분위기를 전했다.
이들 해외지역본부장과 무역관장들은 우리 수출기업이 3대 도전과제(△브렉시트로 인한 수요 위축 △미국의 통상 압력 △중국 시장구조 변화)와 3대 기회요인(△엔고 △미국 소비재시장확대 △중국·베트남FTA)에 직면해있다고 진단했다. 또 수출기회를 확대하려면 각 유망시장 및 품목별 맞춤형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먼저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사태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진 유럽 시장에 대한 분석이 진행됐다.
오혁종 유럽지역본부장과 김윤태 런던무역관장은 영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파운드화 가치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영국발 수요 위축이 유럽 전체로 확산될 경우, 영업활동에 큰 지장을 받을 것이라고 봤다.
기회 요인도 있었다. 영국 현지에 생산 공장을 둔 글로벌 기업들은 유럽 거점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거래선 발굴 등으로 인해 △자동차 △항공기 부품 △정보통신(IT) 융합제품 등의 분야에서 수출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북미와 일본지역은 경기회복 및 환율변동에 따라 기회의 땅이 되고 있다.
김종춘 북미지역본부장은 소비 회복세가 지속되는 미국 시장에서 한국 프리미엄 소비재가 선전하고 있다고 밝히며, 기존의 소재부품과 더불어 대미수출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 본부장은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수위가 높아지는 통상압력이나, 우리 제품의 약한 브랜드 인지도는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일본시장은 브렉시트 영향으로 엔고를 맞이해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광호 오사카무역관장은 엔고를 활용해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시장과 기계부품·전력기자재 분야를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베트남 시장에 대한 분석도 이어졌다. 정광영 중국지역본부장은 "최근 급격한 정세변화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은 명실상부 제1의 수출시장"이라고 강조하면서 "중국 내수시장 활성화·산업구조 고도화 등에 맞춰 수출구조를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유통채널을 확보해 중국 내 소비재 비중을 높이는 등 내륙 소비시장에 진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상협 호치민무역관장은 베트남이 최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아세안경제공동체(AEC) 등을 통해 다자간 무역자유화의 허브가 되고 있다며 글로벌 생산전략을 활용하면 대(對)베트남 수출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재홍 코트라 사장은 "틈새시장 발굴과 기회시장 선점을 통해 특히 중소·중견기업들의 수출이 늘어날 수 있도록 산업부 등 정부와 공조해 조기대응과 적기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