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미래창조과학부는 차세대 유망산업인 ‘휴먼케어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올해 50억원을 투입, 10여종의 콘텐츠를 개발한다.
미래부는 올해 7월 ‘3D 뎁스(Depth) 기반 운동코칭 시스템’, ‘헤드 마운티드 디바이스(HMD)를 네트워크로 연계한 사이클 게임’,‘인공지능(AI) 기반 노약자 감성 연계 로봇’ 등 9종을 선정했다. 선정된 과제는 2년에 걸쳐 업체당 개발비로 약 4억원이 지원되고,8월중에는 추가로 2종의 콘텐츠가 선정될 예정이다.
휴먼케어 콘텐츠는병원 치료의 보조와 예방에 중점을 두는 콘텐츠로고령화(高齡化) 시대를 맞아 휴먼케어 콘텐츠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미래부는 2013년부터 지원을 시작했다. 미래부는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어르신 등의 병 예방으로 사회적 의료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개발된 콘텐츠를 해외시장에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휴먼콘텐츠 사업을 통해 특허와 상표, 디자인 등 지식재산권 67건을 획득했고 지원을 받은 헬스맥스 등 20여개 기업에서 238억원의 매출과 121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뒀다.
알바이오텍의 ‘스마트 보행교정 콘텐츠’는 국내 5개 종합병원에서 임상장비로 운영 중이며, 외국 장비의 5분의 1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하다. 디케이트가 개발한 ‘맞춤형 운동코칭 콘텐츠’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의료수가가 적용되는 장비로 인정됐고, 벤처투자회사로부터 35억원의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서석진 미래부 소프트웨어정책국장은 “휴먼케어 시장에 구글, DNA핏 등이 참여해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각축 중”이라며 “부가가치가 높은 이 산업에 우리의 의료기술과 디지털콘텐츠 기술을 결합해 세계 시장에서 통하는 제품이 개발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