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T사진자료2] KT-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업무협약 체결_f.jpg |
(서울=포커스뉴스) KT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재난대응 전략을 세우기 위해 손을 잡았다. KT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1일 울산에 위치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재난안전 빅데이터 활용 연구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를 통해 KT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재난 상황에서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하며, KT의 통신 빅데이터 분석 능력과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대응 전략을 접목한 최적의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양 기관은 기술, 정보, 인력을 교류하고 데이터, 시설 활용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KT는 통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지역의 인구를 분석, 맞춤형 재난대응 시나리오를 공동 개발해 재난시 최적의 대응방안을 연구할 예정이다. 건물의 화재 혹은 붕괴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건물내 피해자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실내 측위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최근 해외에서도 통신 빅데이터의 재난대응 분야 활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일본 최대의 이동통신회사인 NTT 도코모도 기지국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지진 등 대형 재난시 대피시설에 몰리는 인구의 규모와 귀가 곤란자 수 등을 예측하여 대피계획을 수립해 큰 효과를 본 적이 있다.
박윤영 KT 기업사업컨설팅본부장 전무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대응기술과 KT의 빅데이터 역량을 접목해 국내 재난안전대응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것”이라고 말했다.박윤영 KT 기업사업컨설팅본부장 전무(왼쪽)와 심재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원장이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KT>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