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노조, 전 조합원 파업돌입…조선노연과 연계
![]() |
△ 2016072000164500240_1 |
(서울=포커스뉴스)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노조가 20일 동시파업 이틀째를 맞아 투쟁의 강도를 높이면서 일부 생산차질이 발생했다. 이들 노조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울산본부가 주최한 총파업 궐기대회에도 참여하며 투쟁을 이어갔다.
현대차 노조는 이날 2조를 제외한 모든 조합원이 4시간 부분파업을 진행했다.
이날 오전 6시 50분 출근하는 1조 근무자 1만5000여명은 오전 11시 30분부터 4시간 파업에 돌입했다. 상시 1조, 상시주간, 일반직 등도 4시간 부분파업을 벌였다.
이에 따라 공장 생산라인이 멈추면서 생산차질이 불가피했다. 사측은 이날 피해액을 전날과 같은 1700여대, 390억원으로 추산했으며, 이틀간 파업으로 3500여 대 780억원 상당의 생산차질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다만 오후 3시 30분부터 일하는 2조 1만3000여명은 이날 정상근무 했다. 2조는 21일에 단독으로 4시간 부분파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22일에는 1조와 상시주간조 일반직 등이 6시간 부분파업, 2조는 전면파업을 벌이며 파업의 강도가 최고조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이날 모든 조합원이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4시간 파업에 들어갔다. 전날 간접부서인 설계지원사업 부문 200여명이 3시간 파업한 것에 비하면 강도가 높아졌다.
사측 역시 이날 공시를 통해 울산지역 사업장(특수선 사업부 제외)의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생산중단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생산차질이나 피해액은 발생하지 않았다.
현대중공업은 관계자는 “이날 파업 참여 인원은 1500명 정도로 전체 조합원의 10% 수준”이라며 ”조합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정상조업을 했기 때문에 큰 생산차질이 빚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의 이날 파업은 조선업종노조연대(조선노연)의 '조선 구조조정 반대' 연대투쟁과도 연계 돼 있다.
조선노연에는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성동조선해양, STX조선, 한진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8개 노조와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가가 가입돼 있다. 그러나 파업에 들어간 노조는 현대중공업 외에 삼성중공업, 성동조선 등 3곳에 불과했다. 대우조선,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노조의 경우 파업 대신 집회만 진행했다.
한편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노조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울산본부가 이날 오후 2시부터 남구 태화강 둔치에서 주최한 총파업 궐기대회에 참여했다. 이날 대회에는 현대차와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금속노조 울산지부 플랜트건설 노조 울산지부 등 조합원 5000여명이 모였다.(서울=포커스뉴스)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조선업종노조연대 등 관계자들이 일방적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총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07.13 박동욱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