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 고 전 세계 6개 서비스 권역에서 아시아 제한
![]() |
△ noname01.jpg |
(서울=포커스뉴스) ‘포켓몬 고'(Pokemon GO)’ 게임이 우리나라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서비스가 안되는 이유가 “정부가 구글에서 요청한 지도를 반출하지 않았기 때문”이란 보도에 대해 국토교통부가 반박했다.
국토부는 14일 해명자료를 통해 “포켓몬 고는 GPS 기능을 활용한 위치기반 게임으로 정밀 지도데이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번 구글에서 요청한 지도반출과는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포켓몬 고의 제작사 나이엔틱(Niantic)에서 2014년 출시한 위치기반 게임인 ‘인그레스(Ingress)’는 포켓몬 고와 같은 지도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한국에서도 계속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포켓몬 고의 서비스 권역은 전 세계를 6개의 마름모꼴로 나눠 구분된다. 이는 북부(NR), 아메리카(AM), 아프리카(AF), 아시아(AS), 태평양(PA), 남부(ST) 등으로 현재 나이엔틱은 한국 국토의 대부분이 포함되는 AS권역을 서비스 지역에서 배제하고 있다. 제작사는 미서비스 권역에 수신되는 GPS 신호를 꺼버리는 방식으로 게임을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강원 영동 북부와 울릉도 등의 지역은 미국과 동일한 서비스 권역(NR)으로 포함돼 ‘포켓몬 고’ 게임이 가능하다. 현재 NR권역에 속한 속초, 양양, 울릉 등은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해 포켓몬 고의 성지로 불리며 수많은 게임 유저들이 몰리고 있다.
한편 포켓몬 고 게임은 닌텐도와 나이앤틱이 공동 개발한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게임으로 현재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3개국에 출시됐다.(뉴욕/미국=게티/포커스뉴스) 2016.07.14 ⓒ게티이미지/이매진스 포켓몬 고의 전 세계 서비스 권역. 그림의 AS지역이 한국의 대부분의 영토가 포함된 아시아지역이다. 빨간 원으로 표기된 속초 등 강원도 일부 지역은 태평양(PA지역)으로 포함돼 서비스가 가능하다. <자료제공=국토교통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