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측 "대금 지급 미룬 적 없다. 적법한 절차 밟고 있는 중"
(서울=포커스뉴스) 삼성물산에 8000억원 이상의 손실을 입힌 호주 로이힐(Roy Hill) 프로젝트가 여전히 숙제를 남겨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FT)는 "삼성물산이 최근 공사를 마무리한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와 관련해 올해 1월 7억5500만달러(이하 호주달러 기준, 한화 약 8600억원) 손실을 상각처리 해야 했다"며 "삼성물산은 협력업체와의 법적 분쟁도 마무리해야 한다"고 지난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로이힐 프로젝트는 호주 서부 필바라(Pilbara) 지역에 연간 5500만톤의 철광석을 생산하는 플랜트를 비롯, 철도, 야적장을 갖춘 항만 등 인프라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삼성물산은 호주 로이힐 홀딩스(Roy Hill Holdings)가 발주한 이 프로젝트를 지난 2013년 정연주 전 부회장 지휘아래 56억달러(약 6조4000억원)에 따냈다.
하지만 삼성물산은 작년 12월에 이르러서야 첫 선적(현장에서 채굴한 철광석을 포트 헤드랜드에 대기 중인 선박에 싣는 것)을 달성할 만큼, 이 사업의 진행 과정은 결코 순탄치 못했다.
이는 호주 현지에서의 폭우 발생으로 예상보다 첫 선적이 3개월가량 지연됐고, 삼성물산이 발주처에 천문학적인 지체상금과 추가공사비를 지급해야 했기 때문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해 13조470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지만, 3450억원의 영업손실을 입으며 적자전환 한 바 있다. 바로 이 실적 악화의 결정적 원인이 로이힐 프로젝트였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삼성물산은 이 프로젝트와 관련해 협력업체들과의 법적 분쟁을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
FT는 "스페인 건설사인 두로 펠게라가 삼성물산을 상대로 밀린 공사대금 6500만달러를 지급하라는 소송을 제기했다"며 "두로 펠게라 측은 삼성물산으로부터 받지 못한 대금이 1억달러가 넘는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로이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협력업체가 공사를 제대로 마무리 짓지 못했고, 당사가 이 부분에 대한 대금을 인정할 수 없어 소송이 발생한 것"이라며 "FT에 보도된 것처럼 당사는 대금 지급을 의도적으로 미룬 적이 없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적법한 절차를 밟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실 로이힐 프로젝트의 손실 문제도 새로울 것이 없는 내용"이라며 "8600억원의 손실과 소송 리스크 문제는 이미 올해 초 작년 실적에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 해외건설 관계자는 "호주 로이힐의 경우 삼성물산이 지난 2013년 사업을 따냈던 당시부터 저가수주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프로젝트"라며 "특히 이 무렵은 현지 광산 업황이 서서히 나빠지기 시작했던 시기"라고 말했다.
그는 "이후에 폭우, 하도급 업체 분쟁, 크레인 사고 발생 등의 문제가 잇따라 발생하며 공사가 지연됐다"며 "삼성물산이 이 같은 동시다발적 리스크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