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관련 맞춤 예방·치료 관련 <br />
약물 개발 조기실현 가능 기대
![]() |
△ 379265912_194c65456a_o.jpg |
(서울=포커스뉴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도준) 유전체 센터는 당뇨병 발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혈당, 체내 대사조절관련 16개 신규 유전요인(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정보 중 질병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발굴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연구는 당뇨병 극복을 위해서 2009년부터 지난 약 8년간 전 세계 22개국과 함께 국제 공동연구로 수행됐으며 국내 당뇨병분야 전문가 박경수 교수팀(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유전체 분석 전문가 박태성 교수팀(서울대학교 통계학과), 원성호 교수팀(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번에 발표한 연구는 당뇨병 관련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로, 5개 인종 약 12만 명을 연구 대상으로 했고, 그 중 약 1만 명은 최신 유전체 연구 기법인 차세대염기서열분석 방법을 적용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당뇨병과 관련된 유전 부위를 발굴하는데 그친 반면, 이 연구에서는 당뇨병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혈당 및 체내 대사와 밀접하게 관련된 단백질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다수의 유전요인을 발굴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당뇨 관련 유전요인은 대부분은 5개 인종에서 유사함을 확인했으나, 2개 유전요인(PAX4, FES 유전자)은 아시아인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국제 공동연구 결과는 이 분야 세계 최고학술지(Nature) 2016년 7월 호에 게재 예정이다.당뇨병환자가 인슐린 주사를 맞고 있는 모습. <사진출처=플리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