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연착륙·무역규제·브렉시트…하반기 세계 경기 '곳곳 암초'

편집부 / 2016-07-04 08:58:01
전경련,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경기 회복 걸림돌"<br />
하반기 BSI 전망은 88.5로 부정적

(서울=포커스뉴스) 하반기 글로벌 경기가 미국 금리, 중국 경제의 연착륙 여부, 브렉시트 등의 불확실성으로 회복세에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4일 전경련이 회원사 해외법인을 대상으로 하반기 경기전망을 BSI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하반기 경기는 88.5로 상반기에 비해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처럼 하반기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 데에는 세계 GDP의 약 45%를 차지하는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의 경기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요소로 회복세가 불투명해진데 따른 것이다.

미국은 당초 개인소비지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등 상반기 실적으로는 호전된 것으로 보이나, 중국 경제성장세 둔화와 브렉시트 등 유럽의 불확실성으로 경제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철강 등 주요 업종의 공급과잉 조정과 경기 연착륙에 대한 우려로 당분간 경제심리가 호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중국을 제치고 한국 기업의 생산기지로 부상한 베트남을 필두로 인도, 태국 등 신흥국의 경기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기업들은 글로벌 경제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중국 경제 연착륙(27.8%),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완화(24.7%), 브렉시트(Brexit) 등 경제 불확실성 해소(19.1%)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 미국, 중국, 유럽 등 글로벌 경제 전반에 드리워져 있는 경제 불확실성 요소가 경기회복의 걸림돌로 판단했다.

전세계적으로 보호주의의 확산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은 주재국에서 보호주의적 조치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응답기업의 25.2%가 지난해에 비해 외국기업에 대한 규제가 더 심해졌으며, 내용면에서는 새로운 규제를 도입(31.7%)하거나 기존 규제라 하더라도 엄격하게 운용(41.3%)하는 방식을 통해 자국 기업을 보호하는 조치들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 기업들에 대한 차별조치를 시행하는 경우도 19%에 달해 보호주의 확산 우려가, 단순한 우려가 아닌 사실로 드러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요소로 경제가 좀처럼 회복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反세계화 ․ 新고립주의와 같은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경우 세계 교역량 감소로 우리 경제의 근간인 수출이 흔들릴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