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 수립...무인기 기술 세계 5위 목표

편집부 / 2016-06-30 16:51:10
공통기술 개발·확산 및 무인시스템 전문기업 육성 등 내용 포함<br />
5년후 무인기 기술력 세계 5위까지 향상 목표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향후 5년 동안 무인이동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술개발, 시험인프라 확충, 주파수 분배에 힘을 쏟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무인이동체 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2016~2020)’을 수립해 제13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심의·확정했다.

무인이동체 시장 규모는 지난해 248억달러에서 2020년 673억달러로 연평균 22%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EU 등에서는 기존 전통산업(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에 지능화(인지, 판단, 제어 등) 및 네트워크 기반 운용이라는 공통기술을 접목하고 육·해·공 무인이동체 통합적 발전전략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국내 무인기 기술력은 세계 7위로 평가되지만, 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임무탑재장비는 해외에 의존하고 있고, 자율주행자동차 핵심부품(카메라, 레이더 등)도 대부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육·해·공 통합적 접근을 통해 공통기술(센서, 항법, 통신, 운용소프트웨어(SW) 등)을 개발·확산하고 공통기술기반 무인시스템 전문기업 육성을 추진한다.

우선 무인이동체 분야별로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실증공간, 주파수, 법·제도적 뒷받침, 규제완화 등 무인 전문기업이 출현·성장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무인기 분야는 기술개발 지원(수요기반 기술개발 지원, 농업용 무인기 개발, 고고도 무인기 제작·시험), 인프라 확충(신규 활용분야 발굴 및 안전성 검증 등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시험인프라 확충, 정밀지도 구축), 주파수 분배 및 기준 마련(소형무인기 통신용 비면허 주파수 추가확보 등), 법·제도 개선(소형무인기 사업 범위의 네거티브 방식 전환 등), 인력 및 저변확대(조종인력 양성, 경진대회 개최 등) 등을 추진한다.

자율주행자동차 분야는 핵심부품 및 기술개발(8대 핵심부품, 개방형 SW 플랫폼, 자율협력주행 기술, 교통센터 기술 등), 인프라 확충(시범도로 테스트베드 구축, 자율주행 지원도로 전국 확대, 실험도시 조기 구축, 정밀위치정보 제공, 평창올림픽 시범운행 등), 주파수 분배 및 기준 마련(차량 간, 차량과 인프라 간 전용주파수 확보 등), 법·제도 개선(시험운행 허가요건 완화 등) 등을 계획하고 있다.

무인 농기계 분야는 농업생산시스템 과학화 및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개발 및 수요창출(무인제초기 실용화, 정밀농업시스템 개발 등), 인프라 확충(과학영농시범단지 조성, 무인자동화 연구센터 활성화), 제도개선(첨단농기계 방제·시비 작업 검정기준 마련 등)을 추진한다.

무인 수중이동체 및 무인선 분야는, 기술개발(수중이동체 핵심기술 개발 및 실해역 검증, 다목적 소형 무인선 시스템 개발 등), 실증공간 인프라 조성(전용수역 조성, 시험지원선 타당성 검토 등), 주파수 분배(무인선용 통신 주파수 분배), 법·제도 개선(무인선 인증 및 운항을 위한 제도 정비), 인력 및 저변 확대(전문인력 양성, 경진대회 개최)를 추진한다.

정부는 부처별 역할 분담 및 연계·조정을 위해 운영 중인 무인이동체 발전 협의회를 활성화해 부처 협업과제 발굴, 규제 정비, 부처간 연계 강화 등을 추진하고, 반기별로 추진과제에 대한 추진현황 및 실적을 점검한다.

이를 통해 현재 7위인 무인기 기술력은 5년 후 5위까지, 자율주행차 기술은 4위까지 무인해양 기술수준은 80%까지 올리겠다는 목표다. 국내 시장 점유율도 현재 18%인 소형무인기는 60%까지, 자율주행차는 30%까지, 무인해양은 55%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