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질의응답하는 최양희 장관 |
(서울=포커스뉴스) 20대 국회의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이하 미방위)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지적이 줄을 이었다.
28일 오전 10시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미방위의 첫 전체회의에서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인 ‘창조경제’가 주요 현안으로 다뤄졌다, 의원들은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실효성을 거론하며 추궁했다.
강효상 새누리당 의원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서둘러 홍보하려고 하는 생각이 든다“며 ”현재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제2의 애플’, ‘제2의 페이스북’이 나올 수 있는 만큼 다음 정부에서도 꾸준히 지속돼야 성과가 난다“고 강조했다.
민경욱 새누리당 의원은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민 의원은 “창조경제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양질의 일자리로 이어지긴 힘들고 대기업 위주로 되고 있어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래부에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보육성과 사례를 요구했는데 6건 밖에 되지 않아 실망스러웠다”며 “전 국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도 창조경제혁센센터 성과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대기업에 의존적인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형태도 지적했다. 그는 “대기업 지자체 분담해서 운영하고 있다고 보니 대기업이 손을 떼면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며 “대기업 중에서도 업종의 성격이 맞지 않아 롯데, 삼성, LG, KT 등을 제외하고는 성과가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지금은 초기모델이라 대기업이나 지자체가 끌고 가고있지만, 민간주도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법적 제도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경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태양의 후예가 창조경제 모범사례라고 하지만 창조경제라는 말이 나오기 전인 대장금 때와 다른 게 뭐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운을 뗐다. 신 의원은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기존 벤처 인큐베이팅 센터와 차이가 없고 센터가 17개인데 (대기업과 지역이 연계돼 있는 상태가)강제결혼해서 이혼날짜 결정돼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정권이 끝나면 대기업이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에 손을 뗄 것이고, 센터의 역할도 지속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최 장관은 이에 대해 “창조경제 혁신센터도 법에 근거해 계속 돌아갈 수 있도록 지자체에 협력해서 각종 조치를 이미 작년에 발표했고 올해도 관련 노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답했다.(서울=포커스뉴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질의응답 하고 있다. 2016.06.28 강진형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