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比 2.2p 하락한 87.9
![]() |
△ 2016-06-28_102957.jpg |
(서울=포커스뉴스) 미국 금리인상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대외 경제 불확실성 심화와 건설업 등의 계절적 비수기 도래 등으로 중소기업의 경기 전망이 지난달보다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는 지난 6월15~22일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7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7월 중소기업 업황전망 건강도지수(SBHI)는 87.9로 전월대비 2.2p 하락했다. 이중 제조업은 6월보다 4.0p 떨어진 87.5를, 비제조업은 1.1p 하락한 88.1을 기록했다.
SBHI는 응답내용을 5점 척도로 세분화하고 각 빈도에 가중치를 곱해 산출한 지수다. 100 이상이면 다음달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전망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업종별로 제조업은 '음료'(82.1→101.8),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89.4→96.8) 등 5개 업종은 상승한 반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98.2→83.4), '의료용물질 및 의약품'(102.7→90.1) 등 17개 업종은 전월대비 하락했다.
항목별로는 내수(89.9→87.7), 수출(91.0→88.5), 경상이익(86.5→85.6), 자금사정(85.5→85.2), 고용수준(97.6→97.1) 등 모든 항목이 전월보다 나빠졌다.
비제조업의 경우엔 '교육서비스업'(94.3→122.3),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89.8→94.5) 등 6개 업종이 상승한 반면, '건설업'(90.7→84.9), '부동산업 및 임대업'(92.5→87.2) 등 5개 업종은 전월대비 하락했다.
6월 중소기업 업황실적 SBHI는 전월대비 1.4p 하락한 85.2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엔 5월과 비교해 2.7p 떨어진 85.6을 기록했다. 비제조업은 건설업이 전월대비 2.2p 상승하고 서비스업이 1.2p 하락해 84.9로 조사됐다.
5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월대비 0.3%p 하락한 73.7%를 기록했다. 평균가동률이란 보유 생산설비의 월간 생산능력대비 해당 월의 평균 생산비율을 말한다.
기업규모별로는 소기업이 전월대비 0.3%p 하락한 69.8%을, 중기업이 0.2%p 떨어진 77.2%를 기록했다.
한편, 중소기업들은 6월 최대 경영애로(복수응답) 사항으로 '내수부진'(62.5%), '업체간 과당경쟁'(44.1%) 순으로 응답했다.
이중 '업체간 과당경쟁' 응답은 전월대비 2.6%p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계절적 비수기' 응답은 전월대비 2.4%p 증가한 반면, '인건비 상승'은 1.7%p 감소했다.중소기업 업황전망 SBHI.<자료제공=중기중앙회>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