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세.jpg |
(서울=포커스뉴스) 미래창조과학부가 올해 9월까지 ‘미세먼지 대응 기술개발 세부 이행계획(이하 세부 이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16일 미래부에 따르면 이번 이행계획은 △미세먼지 발생·유입 △미세먼지 측정·예보 △미세먼지 집진·저감 △국민생활 보호·대응 등 4대 부문별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행계획에서는 과학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모든 이슈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국민생활 적용 및 관련 산업육성까지 포함시킨다.
이를 위해 관계 부처가 추천한 산·학·연 전문가로 ‘범부처 미세먼지 연구기획위원회(이하 기획위원회)’를 구성해 17일 착수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기획위원회는 세부 이행계획에 대한 초안을 7월말까지 도출하고, 국민·기업·환경단체 등의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안을 마련한다.
기획위원회는 세부 이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미세먼지 관련 연구실적과 성과를 종합하고, 그동안 전문가들이 제안해 온 연구과제를 검토헤 과제별 연구 우선순위, 연구방법, 투자 규모, 연구 추진일정 등 세부적인 계획을 마련한다.
미래부는 관계 부처의 석탄화력발전, 경유차 미세먼지 감축 정책등과 병행해 과학기술 기반의 효과적인 미세먼지 솔루션을 개발·적용하는 한편, 이번 미세먼지 이슈를 계기로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국민체감형 연구개발(R&D)을 강화해 일상생활의 애로를 해소하고 삶의 질과 편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미세먼지 예방을 위한 중점 연구기획 분야.<표제공=미래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