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기업 내 여성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지난해 600대 상장기업 직원 중 22%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600대 상장기업(금융·보험업 제외) 중 지난 2011년과 2015년 사이 남녀 비율 분석이 가능한 524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여성 비율은 지난 2011년 20.6%에서 지난해 21.6%로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인원으로 보면 지난 2011년 20만7941명에서 2015년 23만5171명으로 약 2만7000여명이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의 여성 비율이 57.3%로 가장 높고 사업시설 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30.3%)과 운수업(30.0%)의 순이었다. 여성 비율이 가장 낮은 업종은 건설업으로 6.6%에 불과했다.
지난 2011년에 비해 2015년 여성 비율이 증가한 업종은 도매 및 소매업(7.0%포인트),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5.8%포인트),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0%포인트) 등이며 여성 비율이 감소한 업종은 제조업(-0.9%포인트)와 운수업(-0.5%포인트)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상위 5대 상장 기업은 웅진씽크빅(78.7%), 남영비비안(77.5%), 신세계인터내셔날(72.8%), 현대그린푸드(70.2%), 광주신세계(69.4%) 등의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 여성 직원 비율은 1~99인 기업 20.6%, 100~199인 15.6%, 200~299인 16.0%, 300~999인 18.6%, 1,000인 이상 기업은 22.3%로 나타나 1~99인 규모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기업 규모가 클수록 여성 직원 비율이 높았다.
지난 2011년에서 2015년 사이 대기업의 여성비율은 20.8%에서 21.8%로 증가 추세를 보인 반면, 중소기업은 ‘11년(15.4%)에서 ’12년(17.3%) 1.9%포인트 증가한 뒤 지난해 15.3%까지 감소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우리나라의 여성 고용률*이 점차 증가하고는 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하위권"이라며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일부 기업이 추진하고 있는 일·가정양립 관련 프로그램들이 다른 기업들로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매출액 600대 기업 여성 인원 및 비율 추이.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