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현대로템과 한국형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구입 계약

편집부 / 2016-06-08 15:35:28
2020년 8월말까지 1천여억원에 30량 구입키로<br />
"세계 철도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좌_최영균_현대로템_철도영업본부장_우_정인수_코레일_기술본부장-1.jpg

(서울=포커스뉴스)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가 8일 현대로템과 한국형 동력분산식 고속열차(이하 EMU-250) 30량을 2020년 8월 31일까지 1014억6000만원에 구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동력분산식 열차는 전동차 1량마다 엔진을 장착하는 열차, 동력원을 맨 앞쪽과 뒤쪽의 전동차에만 연결하는 동력집중식에 비해 정차역 간의 간격이 좁아도 빠르게 속도를 높일 수도 있고 급제동 시 안전성이 높다는 강점이 있다. 최근 5년간 세계 시장 수요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 하고 있다.

이번에 도입한 EMU-250은 경전선 등 200km/h의 속도로 건설된 신설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EMU-250은 국가 연구개발(R&D)로 개발한 차세대 고속열차인 HEMU-430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최고속도 250km/h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다. 이미 운행 중인 KTX-산천과는 달리 엔진을 각 차량에 분산 배치하여 좌석 효율과 가감속 능력을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이번 계약을 통한 EMU-250의 상용화에 힘입어 중국, 일본이 선점한 세계 고속철도 수주전에 국내 철도업체도 도전장을 내밀 수 있게 됐다.

특히, 터키 철도청이 추진 중인 앙카라-시바스, 앙카라-이즈미르를 연결하는 3조원 대 철도건설 사업 발주 차량도 EMU-250과 같은 동력분산식 고속차량으로 이번 국내 도입을 시작으로 해외 진출 가능성이 열렸다.

또한, 국가적으로 총력을 기울이는 14조3000억원대의 말레이시아-싱가포르 320km 구간 고속철도 건설 입찰에서도 국내 기업이 교두보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EMU-250의 기술 기반이 된 차세대 고속열차 HEMU-430은 국토교통부에서 2007년 7월부터 개발을 시작, 2013년 3월28일 운행선로에서 세계 4번째로 421.4Km/h 달성에 성공하고 12만km에 달하는 주행시험을 했다.최용균 현대로템 철도영업본부장(좌)과 정인수 코레일 기술본부장이 한국형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구입 계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코레일>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