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소비자연대 "통신소비자의 100원 권리 지키기 운동 시작할 것"
![]() |
△ 캡처.jpg |
(서울=포커스뉴스) 지난 5년간 소멸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마일리지가 268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녹색소비자연대 전국협의회(상임위원장 이덕승 이하 녹소연)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이 미래창조과학부와 이동통신3사로부터 제공받은 '최근 5년간 이동통신 3사의 마일리지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통 3사의 지난 5년간 소멸 마일리지는 2682억원에 달했으며, 소멸율은 73%에 달했다. 통신사별로 보면 KT가 1436억원, SK텔레콤이 1007억원, LG유플러스가 239억원이었다.
녹소연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은 이에 대해 "2013년 방통위의 마일리지 제도개선 용역자료에는 마일리지제도 개선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현실 정책에는 반영되지 않고 있다"면서,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조속히 마일리지제도 개선방안을 현실 정책화 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실제 방송통신위원회의 2013년 연구용역 자료인 '이동전화 마일리지제도 개선방안 연구'를 보면 마일리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이용처가 협소하며, 사용금액 제한 및 번호 이동시 자동 소멸됨 등으로 인해 마땅히 소비자가 사용해야 할 채권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권리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녹소연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은 앞으로 '통신소비자의 주머니 속 100원 권리 찾아주기 운동'을 통해 기업 중심 정책 논리로 인해 소외된 ICT 소비자 권리 찾기 운동을 본격적으로 해나갈 계획이다.
윤문용 녹소연 ICT소비자정책연구원 정책국장은 "마일리지에 대한 제도개선 요구는 오랫동안 계속되고 있다"며 "특히, 마일리지는 멤버십 포인트와 달리 이용자가 당연히 누려야할 채권적 권리라는 것을 통신사와 정부 모두 깊이 인식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통신 마일리지는 이통3사 마다 조금씩 기준은 다르지만, 대체로 납부요금의 100원 당 5점에서 10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멤버십 포인트와는 별도로 또는 연계돼 관리 운영되고 있다. 특히 통신 마일리지는 멤버십 포인트와 다르게 채권으로 보기 때문에 매년 소멸되는 멤버십 포인트와 달리 7년 간 관리 운영된다.지난 5년간 소멸된 이동통신 3사의 마일리지 <자료제공=녹소연>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