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 경제부총리 주재, 관계부처 장관·기관장 참여<br />
구조조정 보완책·산업개혁 방향 등 주요정책 방향 발표
![]() |
△ 관계장관회의조직도.jpg |
(서울=포커스뉴스) 조선·해운 등 산업 구조조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마련됐던 차관급 구조조정 협의체가 장관급 공식 회의체로 격상된다.
8일 기획재정부 및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는 기존 산업 구조조정 컨트롤타워였던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를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로 격상한다고 밝혔다.
구조조정 협의체는 차관급 협의체로 2015년 10월 꾸려졌다. 금융위원장 주재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취약 산업 주무부서의 차관급 및 금융감독원, 국책은행의 관련기관 부기관장 등이 참석해왔다.
협의체가 관계장관회의로 격상돼 유일호 경제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이 회의를 주재한다. 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장관, 금융위원장 등 상임위원 외에 안건 관련 관계부처 장관 또는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한다.
또 필요할 경우엔 구조조정 및 산업개혁 관련 민간전문가에게도 의견을 듣는다는게 기본 방침이다.
이밖에 관계장관회의는 심의를 위해 ▲기업 구조조정 ▲산업 구조조정 ▲경쟁력 강화 지원 등 3개 분과도 비공개로 운영한다.
유일호 경제부총리는 "구조조정 컨트롤타워를 강화한다"며"산업 구조 재편과 동시에 미래를 제시하고 기업 구조조정의 신속한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관계장관회의는 2년 동안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이날 열린 1차 회의서 조선 및 해운업종의 구조조정과 산업개혁 방향과 후속책을 논의했다. 오는 3분기 중으로 조선·해운·철강·유화 등 산업경쟁력 유지·제고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분과 회의를 거쳐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촉진법' 활용안도 논의됐다.
유일호 부총리는 "관계장관회의에서는 부처 간 정책 조율을 통해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조선업 구조조정과 관련된 고용과 지역 경제의 지원대책 등 종합적인 방향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유일호 경제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서울 광화문 서울청사에서 '제1차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뒤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기획재정부>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 조직도.<자료제공=금융위원회>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