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 위기, 탈출 전략은 항로 다변화

편집부 / 2016-06-09 20:05:11
정부, 선박 대형화로 운항원가 경쟁력 갖출 계획<br />
일각에선 선박펀드만으론 부족, 다양한 항로 구성돼야
△ 구조조정 추진현황 발표하는 유일호

(서울=포커스뉴스) 선박편드를 포함한 정부의 해운업계 구조조정이 발표됐다. 정부는 선박 대형화로 운항원가 경쟁력을 가져가겠다는 취지지만, 한켠에선 선박펀드만으론 쉽지 않을 것이란 주장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부총리 주재로 '산업·기업 구조조정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해운업계 구조조정 추진 계획으로는 선박펀드 조성, 업계 전문가로 경영진 교체 등이 제시됐다.

정부가 선박펀드를 해운업계 구조조정 계획으로 제시한 이유는 선박 대형화로 수송원가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컨테이너선박이 화물을 운반할 때는 운반 비용뿐 아니라 항만 사용 비용, 환적 비용 등이 추가로 든다. 이런 비용을 고려하면 소형 선박 두 척이 두 번에 나눠서 운반하는 것보다 대형 선박이 한 번에 운송하는 것이 저렴하다.

최근 글로벌 해운업계는 이같은 이유로 초대형 선박을 늘리는 추세다. 프랑스 해운조사기관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글로벌 해운업계에서 운용중인 1만8000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를 의미하는 단위)급 이상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31척이고 현재 68척이 건조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각에서는 선박펀드만으로는 선대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글로벌 해운업계는 현재 1만8000TEU급 초대형 선박이 투입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가 지원하는 선박펀드는 1만3000TEU급만이 대상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선박 펀드로 투입되는 금액은 12억달러(한화 약 1조4000억원)로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밖에 지을 수 없다.

정부의 구조조정 계획이 컨테이너선 업종에만 치우쳐 있는 것도 문제로 제기된다.

선박펀드의 조건이 부채비율 400% 라는 점을 감안하면 선박펀드에 지원할 수 있는 회사는 한진해운과 현대상선뿐이라는 전망이다. 또한, 두 회사는 경쟁이 치열한 동서항로에 항로 포트폴리오가 치우쳐져 있어 아시아 경기 불황 리스크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해 다양한 항로 구성으로 경기 상황에 따른 리스크를 분산해야 한다고 주장이 나온다.

실제로 글로벌 해운업계 1위 업체인 머스크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러시아 알루미늄 제조 대기업인 루살(Rusal)은 머스크와 3년 운송 계약을 체결했다.

아울러 머스크는 벌크선용 화물을 컨테이너선으로 운송하는 시도도 하고 있다. 알루미늄과 합금 등은 전통적으로 벌크선에 운송되던 화물이지만, 최근엔 벌크 화물의 컨테이너화가 이뤄지고 있다. 컨테이너선 운송은 벌크선보다 톤당 운송비용이 낮고 더 적은 물량도 운송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머스크의 항로 포트폴리오는 남북항로 비중이 35%를 차지하고 경쟁이 치열한 동서항로 외에도 영업이 분산되어 있어 경기 불황으로 인한 리스크가 적다.

전문가들은 미주와 유럽 항로 외에도 남북항로, 대서양항로 등 다양한 노선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각 경기상황에 따른 리스크를 분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박성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원은 "머스크는 시장 공급 과잉과 아시아 경제 침체로 큰 타격을 받았으나 러시아에서 새로운 시장을 물색하고 있다"고 밝혔다.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구조조정 추진현황 및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2016.06.08 양지웅 기자 현대상선 컨테이너선 현대 유니티호 <사진제공=현대상선>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