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답변하는 김태현 위원장 |
(서울=포커스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한일간 합의에 따라 설립되는 재단의 설립준비위원회 김태현 위원장이 31일 "일본 정부가 출연하기로 한 10억엔은 치유금이지 배상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성신여대 명예교수인 김태현 위원장은 이날 오전 준비위원회 첫 회의를 마친 뒤 서울 세종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태현 위원장은 '일본 정부가 출연하기로 한 10억엔을 외교부에서는 사실상의 배상금이라고 설명한다'는 기자들의 지적에 대해 "아니다. 치유금이지 배상금으로 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피해 할머니들을 면담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가장 원하냐고 물었을 때 할머니들이 저희에게 내가 죽기 전에 직접 지원해달라, 가능하면 빨리 해달라 그런 말씀이셨다"면서 "그러니까 우리가 치유금이라는 명목으로 10억엔을 받은 것에 대해서는 다른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단은 한일 합의에 따라 이행조치를 하기 위해 설립되는 것"이라면서 "재단은 언제든지 당사자인 피해자를 중심으로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피해자 할머니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마음 편하게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가 돼야 한다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가 배상금 받는건 포기했다고 봐도 되는지' 질문이 이어지자 김태현 위원장은 "촛점은 배상금을 포기했냐가 아니라 일본 정부가 책임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일본 정부가 책임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일본 정부의 아시아여성기금과는 다르다"고 지적한 뒤 "일본 정부는 이번 인정을 통해서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명예와 존엄도 회복시키겠다는 차원에서 치유금 10억엔을 출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태현 위원장은 또한 "이번 기금을 운영하게 될 가칭 '화해치유재단'은 일본정부가 개입하지 않는다"라면서 "완전히 주체적으로 할머니들의 필요가 무엇인가,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 그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어떤 사업을 해야 하는가 등등을 주체적으로 결정해 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지 때로는 일본과 협의해야 할 사항 있을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우리 한국이 주체적으로 기금 운영하므로 아시아여성기금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에 대해 김태현 위원장은 "10억엔 출연과 소녀상은 관련이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김 위원장은 "수요집회가 벌써 1231회인데, 소녀상 앞에 모여 민간단체들이 진정으로 우러나서 하는 것이 정부와는 관련이 없다"면서 "여러 번 말씀드렸듯이 12·28 합의 때 소녀상을 만든 민간단체하고 지속적으로 대화하면서 어떻게 풀어보겠다는 것이지 소녀상과 10억엔과는 관계없다"고 설명했다.
김태현 위원장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히로시마 피폭자 단체 회장과 환하게 웃으면서 대화한 것을 언급하면서 "희망사항이지만 아베 일본 총리가 한국에 와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껴안고 환하게 대화해서 서로가 용서하고 사죄하고 위로하고 하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이번 재단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 사업이 목적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말씀드린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기자간담회를 마쳤다.김태현 일본군 위안부 재단설립준비위원회 위원장(성신여대 명예교수)이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재단 설립 준비위원회 제1차 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6.05.31 허란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