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확대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 수단 동원해야"
![]() |
△ kakaotalk_20160530_085825791.jpg |
(서울=포커스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이후 세계 경제 환경에 구조적 변화가 생겼다"며 "저성장 기조를 고착화시킬 수 있다는 세계 경제의 장기 정체 우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30일 오전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6년 한국은행 국제컨퍼런스'에서 기조 연설자로 나선 이주열 총재는 "각국이 경제 활력을 강화하기 위해 갖가지 비전통적 수단을 동원하는 등 적극 노력하고 있음에도 경제 회복이 지연되는 것은 구조적 변화가 발생했다는 방증"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구조 변화가 총수요와 총공급에서 모두 일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총수요 측면의 구조 변화로는 고령화 진전, 부채 증가, 소득불균형 확대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총수요 측면의 변화로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총공급 측면에서는 투자 부진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지연 등이 거론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 같은 총수요와 총공급 구조 변화를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가 고용에 반영되고 있다며 다양한 정책 운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거시경제의 안정적 운용으로 고용을 확대하고, 고용유발효과가 큰 서비스 산업의 육성과 창업 지원 정책 등을 주문했다.
또 그는 고용 확대를 통해 늘어나는 소득이 소비로 원활하게 이어질 수 있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컨퍼런스는 '고용과 성장: 거시겨제정책과 구조개혁의 역할'을 주제로 31일까지 열리며 이 자리에는 민 주(Min Zhu)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와 제임스 불라드(James Bullard)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 등이 참석했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6년 한국은행 국제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손예술 기자 kunst@focus.co.kr민주 국제통화기금 부총재.<사진제공=한국은행>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사진제공=한국은행>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