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육성분야 단순화, 주무부처 선정, R&D 세제지원 개선" 해야
![]() |
△ 귀여운 전기 자동차 |
(서울=포커스뉴스) 이동통신·스마트카 등 국내 업계가 밀고 있는 차세대 먹거리가 선진국 대비 2년 정도 뒤처진 기술 격차로, 기존 조선·가전과 같은 글로벌 1등 주력산업이 되기에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재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5조 6,952억 원을 투자하여 5세대 이동통신, 스마트 자동차 등 19대 미래성장동력을 육성 중에 있다.
하지만 5세대 이동통신 특허 수는 미국의 절반(57%)에 불과하고, 스마트 자동차로 이미 240만km를 주행한 구글에 비해 우리는 올해 3월에서야 임시운행 허가증을 교부한 실정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와관련 이미 세계 1위 GDP 대비 R&D 투자국인 우리나라의 R&D 예산을 늘리는 것은 한계가 있는 만큼, ‘선택과 집중’ 전략 하에 육성 분야 및 추진부처를 단순화하고, 산업현장과 괴리된 세제 지원을 개편하는 등 적극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제조 2025’을 선언한 중국은 신소재 등 10대 핵심 산업에 향후 10년간 8조 위안(연 평균 144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독일은 2014년 ‘신규 첨단기술전략’을 통해 지능형 이동수단 등 향후 빠르게 성장이 예상되는 6개 분야를 육성하기로 발표하고, 매년 140억 유로(18.6조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일본도 과학기술분야에 26조 엔(연 평균 56조 원)을 5년간(2016년~2020년) 투입해 로봇, AI 등 미래 기술을 육성할 계획이다.
제조업 경쟁국들은 정책적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미래 기술 개발에 앞장서는 기업의 법인세를 감면하고 있으며, 일본은 기업실증특례제도를 통해 미래 먹거리 육성을 저해하는 규제를 철폐 및 완화하고 있다. 미국도 R&D 세액공제율을 기존 14%에서 18%로 높였다.
반면 한국은 예산 대비 다수의 분야를 육성하다보니, 1개 분야별 연간 예산이 평균 500억 원에 불과해 경쟁국 대비 뒤처지고 있다.
미래성장동력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의 경우 가장 큰 규모인 8,329억 원(6년 기준, 연 평균 1,388억 원)이 투자될 계획이나, 이는 중국의 1/13에 불과하며, 미국 1개 기업 예산보다 작다.
산업분야별 컨트롤 타워가 없이 다수의 부처가 참여하는 것도 어려움이다. 스마트 자동차의 경우 교통 인프라, 센서, 빅데이터, 기계 등이 요구되는 융복합산업이다보니 미래부, 국토부, 산업부 등 3개 부처가 참여하고 있지만, 주관부처를 아직 선정하지 못해 개별예산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때문에 여러 기술을 융합하고 연계하는데 불편을 겪고 있고, 중첩된 연구개발이 이뤄질 우려가 높다. 반면 최고 기술국인 미국은 스마트 자동차 분야를 한 개 부처에서 총괄하여 육성하고 있다.
이와함께 국가 R&D 투자의 75%를 차지하는 민간에게 가장 주요한 정책지원 중 하나는 세제혜택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조세특례제한법이 규정한 신성장동력에서 19대 미래성장동력 중 4개 분야가 제외되어 있을 뿐 아니라, 법에서 규정한 신성장동력의 기술적 정의가 모호하여 기업들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제주=포커스뉴스) 18일 오전 제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2016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 르노삼성의 초소형전기자동차 '트위지(Twizy)'가 전시 되어 있다. 2016.03.18 김흥구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