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공개 서한 발표하는 하태경 |
(서울=포커스뉴스)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이 25일 정진석 원내대표·김무성 전 대표·최경환 의원의 3자 회동에 대해 "보스끼리 막후정치를 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이다. 매우 부적절하다"고 반발했다.
하태경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3자 회동에 대한 비판 기자회견을 한 뒤 기자들과 만나 "단일성 지도체제로 하겠다는 것은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논의해야 할 상황인데 미리 가이드라인을 주는 꼴이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하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혁신형 비대위가 당론이 되기 위해서는 의원총회가 반드시 소집해야 된다"며 "비대위에서 결정할 사항들을 3자 회동으로 미리 합의하는 것은 월권"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비대위-혁신위 투 트랙 체제는 당선자 전원의 설문조사에 근거한 사실상의 의총 결정사항이었다"며 "따라서 이 결정을 번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의총이 반드시 개최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당초 당선인들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원회를 투 트랙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비대위원장은 정진석 원내대표가 겸임하고, 혁신위원장에 김용태 의원을 선임했지만 친박계의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다.
당의 내홍이 지속되자 정 원내대표는 전날(24일) 비박계 수장 김무성 전 대표와 친박계 좌장 최경환 의원과 3자 회동을 가졌다. 이들은 혁신형 비대위를 구성하고, 지도체제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해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비대위원장으로는 외부 인사를 영입하는 방안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 의원은 "어제 회동에서 언급된 당 대표의 단일지도체제 강화 문제는 이미 중진연석회의에서도 제안된 것으로서 새로운 것이 아니다"며 "더욱이 비대위에서 논의할 안건을 양 계파의 수장이라는 분들이 합의해 사전 가이드라인을 주면 자유로운 토론이 가능하겠느냐. 명백한 월권이다"고 꼬집었다.
그는 "비대위원장 인선은 두 계파의 합의를 전제로 해서는 안된다"며 "혁신형 비대위원장의 인선은 정진석 원내대표에게 전권을 주고, 정 대표가 제시한 비대위원장 인선안에 두 계파가 조건없이 동의하겠다고 선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고노담화 발표 22주년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자민당의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 나카소네 히로우미 위원장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을 발표하고 있다. 2015.08.14 박동욱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