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수출 생산기지로 활용 전략
![]() |
△ 한자리에 모인 전경련 회장단 |
(서울=포커스뉴스) 포스트 브릭스로 불리는 지구촌 마지막 성장엔진인 아프리카를 잡기 위해 대통령의 현지 순방을 계기로 국내 기업이 적극 나선다.
25일 재계에따르면 대통령의 아프리카 3개국 순방에 약 165개의 기업이 참가하는 가운데,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에티오피아 현지에서 오는 27일 아케베 총리특별자문관을 초청한 비즈니스 조찬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 정진행 현대차그룹 사장, 박재홍 한화 대표, 조환익 한국전력공사 사장 등 이번 순방에 동행하는 한국의 주요 경제인들이 대거 참석한다.
간담회에서 에티오피아 측은 투자를 희망하는 업종과 투자환경, 인센티브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며 한국 측에서는 에티오피아 진출시 걸림돌로 작용하는 애로요인과 협력확대 방안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경련은 이와관련 아프리카의 성공적 진출을 위해서는 충분한 자금력을 가진 국가나 기업과 협력하고, 선진국 수출의 생산기지로 활용 가능한 아프리카의 최혜국 대우에 관심을 갖는 전략을 제시했다.
높은 경제성장률과 풍부한 인구로 경제적 잠재력을 가진 에티오피아는 경제적 잠재성 외에도 아프리카연합본부(AU), 유엔아프리카경제협의회(UNECA) 본부 등 많은 국제기구와 개발협력기구가 위치하고 있는 아프리카의 관문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도 이번 순방시 아프리카연합(AU) 본부를 방문할 예정으로 알려져, 에티오피아의 유력한 정부인사와 기업간의 미팅이 성사된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전경련 관계자는 전했다.
재계는 풍부한 자금을 갖춘 국가나 기업과의 협력에 눈을 돌린다는 전략이다. 아프리카의 2012∼2020년 인프라 수요는 679억 달러(대규모 투자에 한정)로 예상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이 있는 전력, 교통, 수자원, ICT 등의 분야가 유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 일본 종합상사와 협력해 케냐 올카리아 지열발전소 수주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현대엔지니어링은 일본정부의 JICA, 월드뱅크, 유럽투자은행, 프랑스투자청(A, 독일개발은행 등의 다국적 자금을 활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 엄치성 국제본부장은 "아프리카는 30대 이하가 전체 인구의 80%를 차지하는 젊은 대륙으로, 세계경제침체에도 평균 경제성장율이 4%대, 높은 곳은 10%대도 기록하는 등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지구촌의 마지막 성장엔진"고 전했다.(서울=포커스뉴스) 황교안 국무총리가 서울 영등포구 전국경제인연합회관에서 열린 '전경련 회장단 초청만찬'에 자리해 회장단과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권오준 포스코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황교안 국무총리,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이준용 대림산업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강진형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