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코나아이_지문_인식_카드_모델.jpg |
(서울=포커스뉴스) K기업은 출근 시간이면 긴 줄이 늘어선다. 1분 1초가 아쉽지만 지문 인식기를 통과해야만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보안을 강조하는 기업에선 쉽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카드·핀테크 솔루션 기업 코나아이와 모바일 생체인식 솔루션 전문기업 크루셜텍이 전자 지문인식 스마트카드(IC칩 적용 카드)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기 때문.
이 카드를 적용하면 개인이 소지한 카드에 지문을 인증한 후에 일반 출입 카드처럼 출입구에 갖다 대기만 하면 된다.
코나아이는 크루셜텍과 공동 개발한 전자 지문인식 스마트카드의 개발을 완료하고 사업을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코나아이가 지문 인식이 가능한 IC칩 운영체제(COS)를 자체 개발했고, 자회사인 코나씨는 국내 공장에서 전자 지문인식 스마트카드를 생산, 발급한다.
크루셜텍은 자체 개발한 저전력 초박형 지문 인식 장치(모듈)를 코나아이에 공급한다. 이 모듈은 스마트 카드의 IC칩에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지문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지문인식 스마트카드는 기존 스마트카드의 몸통에 지문인식 장치를 내장해 카드 소유자의 지문을 식별하는 카드다. 이 카드는 보안, 금융, 신분증 등과 같이 인증과 보안이 필요한 영역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기존의 스마트 카드는 분실할 경우 타인이 임의로 사용할 위험이 있었고, 비밀번호 방식의 보안은 번호가 노출될 경우의 보안 대책이 없었다. 반면 지문인식 카드는 '생체인증' 기술을 적용해 카드 소유자 본인만이 사용할 수 있어 보안성이 한층 강화됐다.
코나아이와 크루셜텍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 한 전자 지문인식 스마트카드는 일반 스마트카드에 지문인식 센서만 추가하는 형태였던 기존 타사의 개발 콘셉트와 달리 배터리를 내장하고 디스플레이를 장착해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카드 두께도 일반 스마트카드와 동일해 휴대 편의성도 높다.
코나아이는 고객의 요구에 맞춰 금융, 출입인증, 보안 등의 분야에 사용 가능한 다양한 카드를 개발, 공급할 예정이다. 시장 조사 기관인 에이비아이리서치(ABI Research)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제 카드 결제 표준규격(EMV)을 만족하는 스마트 카드의 글로벌 출하량은 2015년 약 27억개에서 2020년 35억개로 30% 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스마트카드의 수요 확대와 보안 강화 추세에 따라 금융을 비롯 출입카드, 신분증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한 전자 지문인식 스마트카드 수요 역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개발도상국 가운데 70여개국이 지문, 홍채 인식 등의 생체 정보를 활용한 스마트카드 방식의 전자주민증 도입을 추진 중이다. 유엔 산하의 유엔난민기구(UNHCR)에서도 전 세계의 난민들을 돕기 위해 생체 정보를 인증 수단으로 삼은 스마트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최근 우리 정부에서도 청사 출입 보안 강화 대책을 발표하는 등 전 사회적으로 보안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져 기존의 근거리통신방식(NFC) 출입 카드와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지문 인증으로 보안성을 강화한 지문 인식 카드에 대한 보안, 출입 카드 시장의 잠재 수요는 폭발적일 것으로 양사는 기대하고 있다. 코나아이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국내외 인증 시장을 전자 지문인식카드로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코나아이 조정일 대표는 "보안 영역 뿐 아니라 금융, 사물인터넷(IoT) 등 인증이 필요한 모든 영역에서 전자 지문인식 카드가 ID와 패스워드, 인증서 등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전자 지문인식 카드는 향후 모든 영역에서 인증 방식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시장 조사 업체 가트너(Gartner)는 올해 전년 대비 15억개 증가한 64억개의 IoT 기기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안과 간편한 인증의 중요성 역시 더욱 강조되고 있다.코나아이와 크루셜텍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전자 지문인식 스마트카드를 모델이 선보이고 있다.<사진제공=코나아이>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