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출자전환·현대증권 매각 대금 유입 등으로 긍정적 영향 미칠 듯
![]() |
△ 적막한 분위기의 현대상선 건물 로비 |
(서울=포커스뉴스) 현대상선은 오는 31일, 6월 1일 양일간 개최 예정인 5개 사채권자 집회에 대한 성립 요건을 한국 예탁결제원 출고 기준으로 24일 모두 충족시켰다.
이번에 현대상선이 개최하는 사채권자 집회는 총 5개(△5월 31일 : 177-2회차/ 179-2회차/180회차 △6월 1일 : 176-2회차/186회차)로 올해와 내년 만기 도래하는 모든 공모사채 대상이다.
사채권자 집회 충족 요건은 총 채권액의 3분의 1 이상이 동의해야 하며, 가결되기 위해서는 참석금액의 2/3 이상, 총 채권액의 1/3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특히 186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경우는 개인투자자가 많아 소재 파악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 역시 집회 성립 요건을 충족시켰다.
현대상선은 이번 집회에서 확정된 채무 조정안을 사채권자들에게 제시한다.
사채권자들이 보유한 공모사채의 경우 △50%이상 출자전환 △잔여 채무 2년거치 3년 분할상환 조건으로 채권단이 보유한 협약채권(50~60% 출자전환, 5년 거치 5년 분할 상환)보다 유리한 조건이다.
또한, 공모사채 출자전환 주식은 신주 상장 직후 매도가 가능해 바로 현금화가 가능해 사채권자들의 동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채권단도 현대상선 정상화를 위해 최대한 지원하고 있다.
채권단은 지난 17일 채권단협의회 안건으로 올린 7000억원 규모 출자전환을 포함한 채무재조정안에 대해 24일 조건부로 의결했다. 용선료 협상·사채권자집회 성공 여부에 따라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먼저 보여준 것이다. 이번 채권단의 의결은 현대상선의 용선료 협상과 사채권자 집회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현대상선은 현대증권 매각 대금이 이달 내 최종 유입될 예정이라 밝혔다.
현대상선은 지난 3월 말 KB금융을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한 이후 4월 12일 주식 매매계약을 맺은 바 있다. 매각 대금은 1조2427억원으로 알려졌으며 이달 내 입금이 최종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현대상선은 지난 13일 부산신항만터미널 매각을 종료했다.
이에 따라 현대상선은 매각 대금을 통해 유동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사채권자 집회 성립 요건이 충족됐고, 현대증권 매각 대금 유입 등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만큼 용선료 협상도 속히 마무리되길 기대한다"며 "용선료 협상, 사채권자 집회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면 해운 얼라이언스 편임 등 경영정상화는 시간문제"라고 덧붙였다.현대상선이 해외 선주들과 용선료 협상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 채권단이 조건부 출자전환 안건을 의결하기로한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현대상선 건물 로비에 층별 부서 위치를 알려놓은 안내판이 붙어 있다. 2016.05.24 성동훈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