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주방 살펴보는 시민 |
(서울=포커스뉴스) 창문을 닫은 채로 주방에서 요리하면 미세먼지 농도가 '주의보' 수준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험주택 2곳, 공동주택 22곳, 단독주택 4곳, 다세대주택 4곳 등을 대상으로 지난해 5~11월 실시한 실태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환경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요리기구와는 관계없이 조리 과정 중 기름 등 요리재료가 연소하면서 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 이산화질소 등 오염물질이 발생한다.
요리 재료 종류별로 오염물질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고등어구이를 요리할 때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등어구이를 요리할 때 미세먼지 농도는 2,290㎍/㎥를 기록했다. 이어 삼겹살이 1,360㎍/㎥, 계란후라이 1,130㎍/㎥, 볶음밥 18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미세먼지 주의보 기준인 90㎍/㎥를 초과하는 수준이다.
환경부는 요리할 때 환기효율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그 결과 요리 후 높아진 미세먼지 농도는 창문을 열어 환기하면 최대 15분 내로 평상시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발생량이 높은 구이·튀김 요리는 환기 후 15분, 발생량이 비교적 적은 볶음·끓임 요리는 환기 후 10분 안에 미세먼지 농도가 90%이상 감소됐다.
환경부는 주방에서 요리할 때에는 창문을 열고 주방 환풍기를 작동하는 등 관리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요리기구와 재료를 치우지 않으면 오염물질이 계속 방출되기 때문에 가급적 빨리 정리하고 바닥에 가라앉은 먼지가 다시 날리지 않도록 물걸레로 바닥을 청소할 것을 당부했다.
환경부는 이달 중 환경부 누리집에 '주방 요리시 실내공기 관리 가이드'를 게재할 예정이다. 아울러 가이드를 소책자로 제작해 지차제, 주부단체 등에 배포할 방침이다.2016.05.20 김유근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