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ㅈㄷㅅ교쇼ㅑㅐㅕㅑ.jpg |
(서울=포커스뉴스) 용산공원 조성을 둘러싸고 서울시와 정부가 충돌했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의 '용산공원 콘텐츠 선정 및 정비구역 변경계획'이 공원조성부지에 대해 정부부처의 개별사업을 위한 땅 나눠주기식 양상이라고 비판했다.
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23일 국토부의 변경계획과 관련해 브리핑을 열고 "성급한 콘텐츠 확정 및 공원조성계획 반영은 불합리하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 4월29일 △용산공원스포테인먼트센터(문화체육관광부) △국립과학문화관(미래창조과학부) △국립여성사박물관(여성가족부) △호국보훈상징조형광장(국가보훈처) 등 7개 기관에서 제안한 8개 콘텐츠를 발표했다.
이에 서울시는 국토부의 변경계획이 △기본이념과의 부조화 △형식적인 절차이행 △부지선점식 난개발 △콘텐츠 확정 및 공원조성계획 반영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김 국장은 "공원조성 기본이념과 연계성은 모호하고, 선정과정은 형식적"이라며 "무분별한 콘텐츠 시설이 조성된다면 앞으로 유사한 시설 진입을 막을 수 없게 된다. 결국 난개발에 의한 공원의 집단적 훼손이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어이 그는 "용산공원조성특별법 제2조(기본이념)에 의하면 용산부지는 최대한 보전하겠다고 명시돼 있지만 대규모 신규시설도 선정안에 포함돼 있다"며 "공청회시 '선정된 콘텐츠는 용산공원이 아니더라도 입지가 가능', '용산공원 컨셉과 맞게 설치하겠다는 내용이 없음' 등의 비판에 대해 국토부는 적합성 여부를 밝히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용산미군기지는 2017년까지 이전계획이지만 그동안 계속 연기돼왔고, 현재도 공식화된 시점이 없다"며 "이전 후에도 현황조사, 오염치유 등을 거쳐 단계적으로 공원이 조성돼 충분한 시간이 있다. 그런데 6월 심의에서 확정짓고, 공원조성계획에 반영하겠다는 국토부의 독단적인 추진은 앞으로 더 큰 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국장은 콘텐츠 선정과 관련해 "폭넓은 의견수렴을 위해 조성부지에 대한 명확한 현황정보와 공원조성계획 추진상황을 시민들에게 공개해야 한다"며 "정보공개가 어렵다면 향후 공론화가 가능한 시점에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콘텐츠 선정 및 공원조성계획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23일 서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교통부의 용산 주한미군기지 조성안에 대해 비판했다. 2016.05.23 이균진 기자 qwe123@focus.co.kr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