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통일부 정례 브리핑 |
(서울=포커스뉴스) 통일부는 23일 "북한이 진정으로 군사적 긴장완화 및 신뢰구축을 원한다면, 가장 시급한 현안인 비핵화에 대한 입장부터 행동으로 밝히라"고 촉구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핵 문제를 외면한 채, 마치 군사적 긴장의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것처럼 호도하며 군사회담을 제의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북한과의 대화에 있어 비핵화 조치가 최우선돼야 한다는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지난 6~7일 열린 제7차 당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 보고에서 남북 군사회담 개최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후 20일에는 북한 국방위원회, 21일에는 북한 국방위원회 인민무력부, 22일에는 북한 원동연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국장 등이 '회담개최'를 연쇄적으로 촉구했다.
이에 정 대변인은 "북한의 지난 이틀 연속 군사회담 촉구는한마디로 김정은 위원장의 당 사업총화보고 후속조치의 일환"이라면서 "나아가서 우리 내부를 분열시키고 남남갈등을 조장하면서 국제적으로는 국제제재의 균열을 기도하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이런 대화공세가 8월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정 대변인은 "북한이 비핵화를 부당한 전제조건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이들의 대화공세가 얼마나 허황된 것인지를 잘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이나 미국도 북한의 태도가 핵문제를 비껴 나가서 자기들이 필요한 대화만을 추구하겠라는 식의 잘못된 선전을 펼치고 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우리와 보조를 맞춰서 대북제재를 더 강력하게 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대변인은 "지금은 대화를 언급할 때가 아니며, 중국·미국·한국 정부가 공히 대화를 지금 떠올리면서 입장을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이 이번 통보에 군통신선을 이용한 것'에 대해 정 대변인은 "군통신선과 관련해서 우리 정부가 일방적으로 차단한 적이 없다"고 환기시켰다.
이어 "군통신선은 북한이 일방적으로 차단한 것이고 자기들 필요에 의해서 잠깐을 열어서 전달한 것이기 때문에, 군통신선이 재개된 것인지는 앞으로 두고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원동현 북한 통일전선부 부부장이 조평통 서기국 국장에 임명됐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정준희 대변인은 "임명된 것이 확인된 것은 아니며 원동현에 대해 평가할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한사람의 역할이 북한의 정책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서 "원동현이든 누구든간에 남북대화, 남북관계 발전에 기여하는 쪽으로 이해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23일 "북한이 진정으로 군사적 긴장완화 및 신뢰구축을 원한다면, 가장 시급한 현안인 비핵화에 대한 입장부터 행동으로 밝히라"고 촉구했다. 사진=포커스뉴스 정선식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