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호 게이트' 네이처리퍼블릭 군납청탁 브로커, 재판에

편집부 / 2016-05-20 17:38:15
정운호 대표에게 5000만원 받아 챙긴 혐의<br />
검찰, 롯데면세점 입점 과점 등도 수사 방침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서울=포커스뉴스) 네이처리퍼블릭 화장품의 PX 군납 청탁 대가로 뒷돈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는 브로커가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중앙지검 방위사업수사부(부장검사 박찬호)는 PX에 화장품을 납품해주겠다며 50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로 브로커 한모(58)씨를 구속기소했다고 20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지난 2011년 9월 한씨는 정운호(51)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에게 “네이처리퍼블릭 제품이 PX에 납품될 수 있도록 군 관계자들을 상대로 전방위 로비를 해주겠다”고 말하며 50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2013년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A사 제품을 군수품으로 납품할 수 있도록 방위사업청 관계자에게 로비를 해주겠다며 기업사냥꾼 이모씨로부터 50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도 있다.

검찰에 따르면 한씨는 네이처리퍼블릭과 A사에 대한 납품계약 모두를 성사시키지 못했음에도 받은 돈을 돌려주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한씨를 재판에 넘김과 동시에 해당 자금이 군 관계자들에게 흘러갔는지 여부 등을 추가로 조사할 방침이다.

또한 한씨가 신영자(74) 롯데장학재단 이사장과의 친분을 내세워 네이처리퍼블릭이 롯데면세점에 입점할 수 있도록 도왔다는 의혹도 확인할 예정이다.

앞서 검찰은 지난 5일 한씨를 구속하고 관련 혐의에 대해 집중 수사해왔다.

한씨는 구속여부를 결정하는 영장실질심사에서 롯데면세점 연루 혐의 일체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정운호 게이트’로 불리는 법조계 전방위 로비 의혹은 정 대표의 항소심 선고 이후 불거졌다.

지난달 12일 정 대표가 수임료 반환문제를 두고 최모(46) 변호사를 폭행했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경찰 등에 따르면 정 대표는 당시 최 변호사와 면담 과정에서 20억원의 착수금을 반환하라고 요구했고 최 변호사가 이를 거절하자 손목을 잡고 강제로 자리에 앉히는 등 폭행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최 변호사는 정 대표의 항소심 변론을 맡았다가 지난 3월 사임했다.

최 변호사가 서울강남경찰서에 고소장을 제출하면서 사건이 공론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당초 20억 수준으로 알려진 수임료가 실제로는 50억으로 약정됐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거액의 수수료 사용처에 대한 의혹이 일었다.

입을 연 쪽은 최 변호사였다.

정 대표에게 실제로 받은 돈은 몇 천만원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정 대표가 대형 로펌 변호사 선임을 요구해 24명의 변호인단을 꾸리는 데 든 돈이라는 것이다.

또한 최 변호사는 3개월 동안 정 대표를 매일 접견하고 상습도박 혐의 외에 16건의 민형사 사건을 처리해주는 대가로 받은 수임료라고 주장했다.

최 변호사는 또 정 대표가 구치소 접견을 온 지인들을 이용해 구명활동을 벌였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재판에서 유리한 결과를 얻기 위해 평소 알고 지내던 현직 판사 등 법조계 인사들을 동원해 집행유예 판결에 대한 긍정적 답변을 얻었다는 내용도 있었다.

이때부터 이른바 '정운호 게이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핵심 인물로 지목된 브로커 이모씨도 이 과정에서 드러났다. 정 대표 측근인 브로커 이씨는 지난해 12월 말 항소심 담당 판사와 저녁식사를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법원에 따르면 당시 임 부장판사는 이씨와 저녁식사를 하며 담소를 나누던 중 정 대표 사건을 접하게 됐다.

이후 임 부장판사는 해당 사건이 자신에게 배당됐다는 사실을 알고 재판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재배당을 요구했다.

이후 사건은 C부장판사에게 배당됐다. 그러나 C판사에게도 로비는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 대표는 자신의 지인인 모 부장판사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잘 전달해달라는 취지로 부탁했지만 C부장판사는 이와 무관하게 실형을 선고했다.

논란이 계속되면서 임 부장판사가 또다른 브로커 정모씨에게 골프접대를 받았다는 의혹 등이 제기됐고 결국 그는 2일 서울중앙지법에 사표를 제출했다.

법원을 향한 로비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최근 법조계에서는 정 대표가 검찰 측에도 구명을 위한 로비 활동을 벌였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정 대표 항소심을 담당한 변호사 중 특수통 검사장 출신인 D변호사가 로비 활동을 벌였다는 것이다. 이같은 로비 추측의 근거로 1심보다 이례적으로 낮아진 검찰 구형량이 거론되고 있다.

검찰은 당시 1심에서 징역 3년을 구형했지만 2심에서는 2년 6월을 구형했다.

그러나 검찰 역시 구형과 관련한 로비는 없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최 변호사가 공개한 정 대표의 친필 메모지가 공개되면서 논란은 더욱 커졌다.

올해 1월 최 변호사가 정 대표를 접견할 당시 적은 것으로 보이는 메모에는 현직 부장판사와 D변호사의 이름 등 유력인사들의 이름이 적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의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각종 의혹이 연이어 불거지고 있는 만큼 한동안 ‘정운호 게이트’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검찰. 2015.08.16 김인철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