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bmw_그룹_2015년_실적_발표_(2).jpg |
(서울=포커스뉴스) 폭스바겐 대량 리콜사태와 닛산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논란으로 수입차 업체들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불신이 높아지는 가운데 BMW 코리아의 선제적 대응이 눈에 띈다.
지난 18일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BMW는 13개 차종 1751대의 연료 호스 결함을 인정하고 자발적 리콜을 시행하기로 했다.
BMW는 해당 차량들이 제작공정상 결함에 의한 균열로 저압 연료 공급 라인에서 연료가 누설돼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BMW는 리콜을 진행해 나가면서, 국토부와 해당 부품결함과 화재발생의 연관성 유무 등을 밝히기 위한 조사도 계속 진행한다고 전했다.
특히 이번 자진 리콜 결정은 국내에 보고된 3건의 사례를 갖고, BMW 코리아측이 독일 본사를 설득해 전격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자동차 업계에서는 BMW의 행보를 상당히 이례적으로 보고 있다.
BMW는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8대의 잇따른 차량 화재사건으로 한차례 홍역을 치르면서 고객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다. 지난 2월에는 안전사고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각 사고차량의 전소 원인을 정확히 규명해내지는 못했지만, 독일 본사 화재 감식팀과 한국법인 기술팀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화재에 대한 면밀한 수사에 착수했다. 일부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보상도 완료했다.
내부적으로는 기술 역량 강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외부적으로는 부품·차량 정비를 위한 기술 정보를 온라인에 전면 공개한다는 방침을 세우는 등 추가 사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였다.
업계 관계자는 이같은 BMW의 선제적 대응에 대해"기업의 사회적 도의를 다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바람직하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하랄드 크루거 BMW그룹 최고 경영자. <사진제공=BMW 코리아>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