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세먼지로 덮힌 서울 |
(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는 오는 19~20일 중국 베이징, 일본 도쿄 등 동북아 4개국의 15개 주요도시들이 대기질 개선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2016 동북아 대기질 개선 국제포럼'을 서울시청 다목적홀과 대회의실에서 연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포럼에 참가하는 15개 도시는 한국의 서울, 경기, 인천, 중국의 베이징, 텐진, 상하이, 저장성, 쓰촨성, 지린성, 구이양, 선전, 홍콩, 일본의 도쿄, 기타큐슈, 몽골의 올란바토르 등이다.
포럼 첫째날인 19일에는 15개 도시들 간 '논의의 장'이 열린다. 특히 첫째날 폐회식에서는 대기질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의지를 담은 '대기질 개선 서울선언문'이 발표된다.
포럼 첫째날은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진행되며 미국 항공우주국(NASA)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 연구 총책임자인 베리 레퍼(Barry Lefer)의 기조연설로 시작된다.
첫째날 폐회식에서 발표되는 '대기질 개선 서울선언문'에는 포럼에 참가한 15개 도시가 대기질 개선을 동북아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제로 삼아 구체적인 협력을 약속하는 의미를 담는다.
선언문의 주요 내용은 △대기오염 감축목표와 대기질 개선 정책을 적극 발굴·공유 △대기오염 및 기상 관측, 배출량 등 관련 기초 정보 공유 △동북아 대기질 협의체 구축 가능성 모색과 협력 등이다.
20일에는 환경분야 전문가와 시민사회 영역의 '토론의 장'이 진행된다.
포럼이 진행되는 동안 국내 46개 우수 녹색기업과 20개 중국바이어사 등이 참가하는 수출상담회와 기술전시회도 열린다. 시는 상담회와 전시회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중국을 비롯한 해외 판로를 개척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서울시와 베이징시가 도시 환경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신설한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 환경팀의 협력과제인 도로 비산먼지 관리와 음식점의 대기오염물질 관리 등의 성과 공유와 계획을 논의하는 간담회도 마련된다.
포럼에 참가와 관람을 원하는 개인이나 단체는 서울시 기후변화대응과(02-2133-3620~2)로 미리 문의하면 된다.
유재룡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번 포럼은 한 도시만의 노력으로는 개선할 수 없는 대기질에 대한 동북아 도시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공동대응 방안 마련 및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자리"라고 말했다.지난달 25일 서울 시내에 미세먼지가 대기를 뒤덮었다. 관악산 연주대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가 온통 희뿌연 미세먼지로 남산타워가 겨우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보인다.2016.04.25 우정식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