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gdg-tile.jpg |
(서울=포커스뉴스) 카카오(대표 임지훈)가 올 하반기 홈클리닝 시장과 주차 서비스 시장에 진출한다.
카카오는 모바일 홈클리닝(가사도우미) 중개 서비스 '카카오홈클린'(Kakao Homeclean)을 올해 하반기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카카오홈클린은 이용 날짜 선정, 청소 범위 등 예약부터 결제, 서비스 피드백까지 모든 과정을 앱 하나로 이용하는 구조다. 서비스 종사자 대상 가입비, 월 회비 등 비용 부담을 없애고 실제 이용 범위에 따른 합리적 가격 체계를 도입해 이용자와 종사자 모두의 효율을 높일 방침이다. 근무 조건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매칭 시스템을 적용해 이용자와 종사자가 서로 원하는 조건에 맞춰 원하는 지역에서 연결된다.
카카오는 단계별 청소 방식/청소 범위 등을 규정한 자체 개발 표준 매뉴얼과 전문적인 교육을 통한 매니저 양성으로 장소와 사람에 관계없이 균등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카카오 교통 서비스를 통한 길찾기 및 이동 지원과 카카오페이 결제 등 기존 카카오 서비스와 유기적 연결도 준비 중이다.
카카오는 "국내 홈클리닝 시장은 가격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지인 기반으로 구인 또는 구직하는 경우가 대다수"라며 "카카오는 홈클리닝 시장에서 카카오의 모바일 경쟁력이 만들 수 있는 변화를 확인,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카카오는 유휴 주차 공간과 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를 모바일에서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서비스 카카오주차(가칭)도 올해 하반기 출시할 예정이다.
카카오주차는 이동 중 언제라도 모바일 앱을 통해 주차가 가능한 인근 주차장을 추천해주고, 결제까지 앱 내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다. 이용자-주차장-주차 서비스 업체 등 주차장 관련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연결해 공급-수요 비대칭 문제를 해결하고, 동네 주차장 활성화와 도심 주차 문제 완화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다.
카카오 정주환 O2O사업부문 총괄 부사장은 "다양한 O2O 서비스 영역들을 검토하던 중 주차장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눈에 띄었고, 카카오의 모바일 경쟁력이라면 이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다"며 "공급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효율적인 모바일 주차 예약 플랫폼을 구축하고 카카오가 준비 중인 다양한 O2O 서비스와의 연결고리를 강화해 새로운 생활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카카오 홈클린 <사진제공=카카오>카카오 주차 <사진제공=카카오>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