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대학 주체인 학생 의견 수렴 없이 프라임 사업 일방적으로 추진"<br />
"전국 대학 연대해 프라임 사업 및 대학구조조정평가에 대응할 것"
![]() |
△ 프라임 사업 반대 대학생 연합 기자회견 |
(서울=포커스뉴스) 대학생들이 교육부가 추진 중인 프라임(PRIME,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에 반대의 뜻을 밝히며 집단 행동에 나섰다.
'대학 공공성 실현! 대학생 네트워크 모두의 대학'과 대학교 총학생회장단 등은 9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 수요에 맞추겠다는 목적으로 학문 추구가 본질인 대학을 자본의 논리에 종속시키는 프라임 사업은 전면 철회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3일 교육부의 프라임 사업 지원 대상 21개교 발표에 대해서도 "지난해 12월 프라임 사업 계획안이 나온 이후로 학생 등 대학 구성원들은 끊임없이 문제제기 했지만 교육부는 아랑곳하지 않고 사업을 추진하고있다"고 비판했다.
프라임 사업에 선정된 이화여자대학교의 최은혜 학생회장은 이날 "프라임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항의서한 전달‧반대농성‧기자회견 등 갖은 방법을 동원해 학생들의 목소리를 냈지만 교육부와 대학 측은 한 번도 답변을 주지 않았다"며 "대학의 주체인 학생들의 의견도 수렴하지 않은 채 추진하는 프라임 사업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박세훈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도 "고려대학교는 프라임 사업에 선정되지 않았지만 이는 비단 선정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하며 "학문 추구라는 대학의 본질을 무시한 채 자본과 기업의 수요에만 맞추려는 프라임 사업과 대학구조조정 평가 등에 대해 전국의 대학생들은 연대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청년 실업 문제 해소를 위해 대학에만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태연 모두의 대학 정책팀장은 "삼성‧현대‧SK 등 주요 대기업이 사내유보금으로 700조를 쌓아두고 있는데도 정부는 대학에만 구조조정을 요구하고 있다"며 "청년 실업 문제를 해소하려면 대학에만 부담을 지울 것이 아니라 기업들에도 책임 있는 자세를 취하라고 요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애초에 전국에서 대학이 우후죽순 늘어난 것은 지난 1995년 김영삼 정부가 대학 설립 요건을 완화하면서부터였다"고 지적하며 "대학 설립을 장려할 땐 언제고 이제 와 대학에 그 책임을 떠넘기는 것은 정부가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고려대학교‧성신여자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국민대학교 등 대학의 학생 대표단과 대학생 네트워크 '모두의 대학'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들은 일단 전국의 대학 대표단과 만나 논의 한 뒤 앞으로 프라임 사업 및 대학구조조정평가 등에 공동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교육부는 지난 3일 프라임 사업 심사결과를 공개하고 대형 유형 9개교(건국대, 경운대, 동의대, 숙명여대, 순천향대, 영남대, 원광대, 인제대, 한양대(ERICA캠퍼스)), 소형 유형 12개교(성신여대, 이화여대, 경북대, 대구한의대, 한동대, 동명대, 신라대, 건양대, 상명대(천안), 군산대, 동신대, 호남대)등 총 21개교를 선정 대상으로 발표했다.'대학 공공성 실현! 대학생 네트워크 모두의 대학'과 대학교 총학생회장단 등은 9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교육부 프라임 사업 및 선정 대학 발표 규탄 대학생 기자회견'을 열어 교육부와 정부를 비판했다. 장지훈 기자 jangpro@focus.co.kr(서울=포커스뉴스) 지난 3일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 선정 결과로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 유형) 9곳,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유형) 12곳이 선정됐다. 프라임사업은 학령인구 감소와 산업수요에 맞게 정원을 조정하는 사업으로 총 5,351명 규모의 정원 이동이 이뤄진다. '산업인력 맞춤 인재 양성'이라는 사업 취지에 따라 교육과정 개편도 진행될 예정이다. 2016.05.09 이희정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