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병준.png |
(서울=포커스뉴스) 새누리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정책실장을 맡았던 김병준 국민대학교 교수의 이름이 거론되면서, 김 교수의 이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병준 국민대 교수는 9일 오후 새누리당 당선자 총회에서 '제20대 국회, 새누리에 바란다'라는 주제로 정책 조언 등의 특강을 진행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1954년 3월 26일 경상북도 고령에서 출생, 대구상업고등학교와 영남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서울로 상경해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미국의 델라웨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따고 한국으로 귀국한 김 교수는 1984년 강원대학교에서 행정학과 교수를 맡으면서 교직 생활을 시작했다. 2년 뒤인 1986년 국민대학교 행정학과로 자리를 옮겨 대학원 교학부장, 행정대학원장, 교수협의회 회장 등 다수의 직책을 맡았다.
김 교수는 국민대에서의 교직 생활과 함께 지방분권운동 등 사회 참여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당시 대통령이였던 전두환 전 대통령의 호헌조치 철폐를 요구하는 교수 서명뿐 만 아니라 지방분권운동, 유권자운동 등에 뛰어들었다.
김 교수는 이 때의 경험을 시작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지방자치특위 위원장과 한국유권자운동연합 집행위원장을 맡았다.
1993년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설립한 지방자치실무연구소의 특강을 진행한 것이 계기가 돼, 소장과 이사장으로 임명되면서 노 전 대통령과의 인연이 시작된다.
이후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통령선거에 출마하면서 민주당 대통령후보 정책자문단의 단장을 맡아 정책캠프를 운영했고, 대통령 취임 이후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 청와대 정책실장 등을 잇따라 맡으며 행정개혁과 규제개혁을 실행했다.
대표적인 정책으론 종합부동산제, 톱다운 예산제도, 양극화 해소를 포함한 동반성장 전략, 고용지원서비스 확대 등이 있다.
김 교수는 이외에도 제 7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겸 부총리,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 등 다수의 직책을 역임했다.
노무현 정권 이후에는 공공경영연구원, 사회디자인 연구소 등의 이사장을 맡으며 정책 관련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프로필
△1954년 경북 고령 출생 △영남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델라웨어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국민대학교 행정정책학부 교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지방자치특별위원회 위원장 △전국사립대교수협의회연합 공동회장 △새천년민주당 노무현대통령후보 정책자문단 단장 △대통령 정책실장 △제7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부총리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 △공공경영연구원 이사장 △제2대 이투데이 회장 △사회디자인연구소 이사장김병준 국민대학교 교수 <사진출처=김병준 블로그>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