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우 전 대표 재소환 등도 검토…전수조사 진행
![]() |
△ 기자회견하는 옥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 |
(서울=포커스뉴스)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제품 개발·제조 부문 수사를 마무리하고 판매 부문에 대한 집중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이와 함께 옥시레킷벤키저 신현우(68) 전 대표에 대한 재소환도 검토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가습기살균제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 형사2부장검사)은 3일 오전 10시 옥시 연구소 최모 연구부장과 조모 현 연구소장, 김모 연구소 직원 등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이중 최씨는 2001년 전후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제품의 개발과 제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지난달 26일과 27일에 이어 피의자 신분으로 3번째 소환 조사에 임하게 됐다.
조 소장 역시 지난 27일에 한차례 소환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제품 개발·제조 부문 수사를 일단락한 검찰은 이후 판매 부문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에 나설 계획이다.
검찰은 이번 주 중 판매 담당 실무자들을 불러 사실관계 확인에 나선다.
검찰 관계자는 “앞으로도 계속해 관계자에 대한 줄소환이 있을 예정”이라며 “집중적인 소환 조사를 통해 사실 관계를 확인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소환된 신현우 전 대표에 이어 2005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옥시의 최고경영자를 지낸 미국인 리존청(48)과 이후 2012년 10월까지 옥시 경영을 책임진 인도 국적 거라브 제인(47) 등에 대한 소환도 검토되고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옥시에서 10년간 판매한 제품을 ‘전수조사’해 책임자를 가릴 예정이다.
10년간 판매한 제품 수는 453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상당수는 유해제품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실제로 공식 피해가 인정된 사례는 극히 일부분이다.
법조계는 검찰의 전수조사를 통해 옥시의 유해 제품 종류 범위나 대상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10년이 넘는 기간 제품이 판매되며 그에 따른 상당한 피해자를 배출한 만큼 전수조사 이후 처벌 수위 역시 높아질 것이라는 게 법조계 중론이다.
환경부가 가습기살균제 추가 피해조사에 나선 것 역시 검찰 수사 확대에 힘을 싣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주부터 산하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을 통해 가습기살균제가 폐 외에 다른 질환을 유발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4차 피해자 접수에 나섰다.
만약 환경부 조사를 통해 폐 이외 질환과의 연관성도 입증된다면 검찰의 처벌 수위 및 제품군에 대한 범위 역시 현재 수준에서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검찰은 영국 본사 수사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품이 처음 개발된 2000년 10월은 영국 본사인 레킷벤키저가 옥시를 인수하기 전인만큼 제품 개발과 제조 과정에서의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옥시 측이 장기간 제품 판매를 진행하며 안전성 점검 등에 소홀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아직 수사 가능성이 열려있는 상황이다.
또한 2일 오후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등이 영국 레킷벤키저 최고 경영자 라케쉬카푸어 등 이사진 8명을 살인·살인교사·증거은닉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한 만큼 검찰에서도 관련 움직임을 보일 것이란 반응도 나오고 있다.
한편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등은 4일 영국으로 출국해 5일 런던에서 열리는 옥시 본사 총회에 항의서한을 전달할 방침이다.
또 ‘세퓨’에 가습기살균제 원료 물질인 염화에톡시에틸구아니딘(PGH)을 덴마크 케톡스사에 대한 항의 방문도 예정돼 있다.
이와 함께 피해자들은 영국과 덴마크 검찰에 각각 옥시레킷벤키저와 테스코, 케톡스 등을 형사 고발할 방침이다.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과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들이 옥시레킷벤키저 대표 등 8명의 이사진 형사고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05.02 오장환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