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VR업체 성장지원센터 설립…유망기업 임대료 면제

편집부 / 2016-05-03 18:41:09
문체부, VR 게임 육성위해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제 적용 <br />
기재부, '문화콘텐츠 진흥세제' 신설..제작비 10% 세액공제
△ vr.jpg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VR업체 성장지원센터를 구축하고 유망기업에는 임대료를 면제한다. 모바일 게임에 한정된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제를 모든 게임물로 확대 적용한다.

미래창조과학부·기획재정부·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와 국내외 주요 VR기업체는 3일 상암 누리꿈스퀘어에서 최상목 기재부 1차관 주재로 가상현실(VR)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에서 미래부는 상암 DMC에 중소 VR업체 지원을 위해 1500평 규모의 성장지원센터를 마련하고, 14개 유망기업을 선발해 임대료를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상암 디지털파빌리온에 개발 스튜디오 및 VR랩을 설치해 기업의 인력양성·연구개발(R&D) 등을 지원하고, 공동제작센터를 정비해 실감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촬영장비 및 관련 시스템도 제공한다.

오는 10월 처음 추진하는 VR 개발자 대회에서는 VR 기업간 생태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문체부는 VR 게임의 규제를 풀 전망이다. 모바일 게임에 한해 허용되고 있는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제를 청소년이용불가·아케이드 게임을 제외한 모든 게임물로 확대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자체등급분류 사업자에 대한 사후관리 수단도 함께 마련해 아동·청소년 보호에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미래부와 공동으로 추진 중인 VR 콘텐츠 저작 기술개발을 ‘오픈소스형’으로 추진해 다양한 수준의 개발자가 쉽게 접근해 활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기재부는 신성장 분야에 80조원의 정책금융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문화콘텐츠 진흥세제’를 신설해 영화방송 콘텐츠 제작비의 최대 10%를 세액공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VR과 같은 신산업의 경우 초기시장이 작아 중소기업이 판로개척에 어려움이 크므로 공공부분이 선도적으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부분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최상목 차관은 간담회를 마무리하면서 정부가 융복합 신산업과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하고, 기업의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를 당부했다.미래부의 VR 육성방안.<표제공=미래부>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