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1Q 영업익 3252억원…흑자전환 "수익사업 재편속도"(종합)

편집부 / 2016-04-26 11:33:52
유가상승에 따른 정유사업부 호조와 강도 높은 체질개선 작업의 성과
△ upaea1e8c358fb4.jpg

(서울=포커스뉴스) 현대중공업이 올해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 2013년 3분기 이후 10분기 만에 적자에서 벗어났다.

현대중공업은 26일 연결기준 1분기 영업이익 3252억원, 당기순이익 2445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흑자로 돌아섰다. 다만 10조2778억원을 기록한 매출액은 전기대비 7.8% 감소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조선 부문은 저가 수주물량이 거의 해소되었고, 해양, 플랜트 부문은 흑자전환은 못했지만, 공정이 점차 안정화되고 있다"며, "자재대금 인하에 따른 재료비 절감, 환율 상승, 엔진, 전기전자, 건설장비 등 비조선분야의 확실한 실적개선으로 10분기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어 "1분기는 연초 계획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진행되었으며, 연결기준으로는 계열사인 현대오일뱅크의 양호한 실적이 전체적인 실적개선에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정유사업부인 현대오일뱅크의 배당금(2790억원)유입으로 유동성이 안정화됐고, 영업이익이 2496억원으로 추정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대중공업은 2014년 새 경영진 취임 이후 위기극복을 위해 강도 높은 체질개선 작업을 실시한 것이 10분기만의 흑자전환으로 이어진 것 같다고 자체 평가했다.

아울러 유사부문 통합에 따른 시너지효과 극대화를 위해 그룹선박해양영업본부를 출범시켰고, 각 사업본부 별로 재료비 절감을 위한 모듈화를 지속적으로 시행했다. 현대커민스(건설장비 엔진 생산)와 독일 야케법인(풍력기어박스 생산), 중국 북경법인, 태안법인 등 부실이 지속되는 법인에 대해서도 과감히 청산작업을 진행하는 등 철저히 수익성 위주의 사업 재편 작업을 해왔다.

최근에는 산업기계 부문(산업용 펌프 제작, 판매)을 '현대중공업터보기계'로 분사시켜 독립경영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나섰고, 회사의 역량을 핵심 사업에 집중시키기 위해 현대종합상사를 계열분리 시킨 것이 주효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1월 긴축경영체제에 돌입하며 사장단과 임원, 부서장의 급여반납을 비롯해 불요불급한 비용 절감 등 위기극복과 흑자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사진제공=현대중공업>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