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4.png |
(서울=포커스뉴스)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은 궁중문화를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 문화유산 활용 축제'제2회 궁중문화축전'을 오는 29일부터 5월8일까지 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종묘에서 개최한다.
'오늘, 궁을 만나다'를 주제로 열리는 2016년 궁중문화축전은 약 10일 동안 공연‧체험‧의례 등 궁중문화의 정수를 녹여낸 품격 높은 문화예술 프로그램들을 궁궐별 공간적 특성을 살려 다채롭게 담아낸다.
오는 29일 오후 7시30분 경복궁 흥례문 광장에서 펼쳐지는 '개막제'로 문을 여는 제2회 궁중문화축전은 △고종 즉위 30주년과 41세 생신을 기념하는 궁중잔치를 재현한 '1892, 왕의 잔치'(5월5일~7일, 경복궁 근정전) △태국‧일본‧베트남 아시아 3개국의 '세계 왕실문화 교류공연'(4월30일~5월7일, 경복궁 흥례문 광장)을 만나볼 수 있다.
아울러 △경회루 야경과 아름다운 음악이 어우러진 '경회루 야간 음악회(4월30일~5월7일, 경복궁 경회루) △ 문예 군주 정조를 통해 왕실의 예술적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정조, 창경궁에 산다-서화취미(書畫趣味)'(4월30일~5월8일, 창경궁 영춘헌‧집복헌) 등 격조 높은 왕실문화를 엿볼 수 있다.
지금까지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서만 보아 왔던 궁궐의 일상을 몸소 경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궁궐의 부엌이었던 경복궁 소주방에서는 전통음식을 맛보고 만들어 볼 수 있는 '수라간-시‧식‧공‧감'(4월30일~5월8일, 경복궁 소주방) △궁중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는 '고궁문화체험'(4월30일~5월8일, 경복궁 함화당·집경당) △시민들이 직접 재연 배우로 참여하는 '1750 시간여행, 그 날'(5월5일, 창경궁 일원) △왕실 전속 의료기관인 내의원에서 한방의술을 체험하는 '왕실 내의원 체험-어의御醫 허준을 만나다'(5월5일~8일, 창덕궁 성정각) 등이 진행된다.
조성 배경과 시기, 장소 등을 달리하는 각 궁이 지닌 고유의 역사와 문화에 착안한 프로그램도 눈에 띈다. 창경궁에서는 △궁에서 벌어진 에피소드를 극으로 재현하면서 역사 속 발자취를 따라가는 '영조와 창경궁-궁궐 일상을 걷다'(5월6일~8일, 창경궁 일원) △운치있는 밤숲을 거닐며 전통공연을 감상하는 '창덕궁 별빛야행'(5월2일~4일, 창덕궁 후원) 등이 진행된다.
근대 자주국가를 꿈꾸던 대한제국의 황궁인 덕수궁에서는 서양음악을 소재로 역사를 담아낸 '덕수궁 근대 음악회'(5월5일~7일, 덕수궁 중화문), 왕실 사당 종묘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묘제례악 야간공연'(5월3일~4일, 종묘 정전)으로 관람객을 맞이한다.
궁궐이라는 과거의 공간에 머물지 않고 오늘날에 맞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시도들도 주목된다. △문화유산과 첨단기술을 융복합한 화려한 빛의 향연 '흥례문 미디어 파사드'(4월30일~5월8일, 경복궁 흥례문) △덕수궁이라는 역사적 공간에서 현대적 미디어 기법을 사용해 선보이는 작품전 '덕수궁 속의 현대 미술'(4월29일~5월8일, 덕수궁 일원) △동서양의 문화가 조화롭게 빚어내는 스토리텔링 콘서트 '덕수궁 석조전 콘서트-황제를 위한 아리아' 등은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지난해 열린 '1750 시간여행, 그 날'의 행사 모습. 시민들이 직접 재연 배우로 참여하여 하루 동안 왕과 궁궐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볼 수 있다. <사진제공=문화재청>지난해 열린 경복궁 소주방 궁중음식체험 모습. 궁궐의 부엌이었던 경복궁 소주방에서 전통음식을 맛보고 만들어 볼 수 있다.<사진제공=문화재청>지난해 열린 '미디어 파사드' 모습. 문화유산과 첨단기술을 융복합한 화려한 빛의 향연을 관람할 수 있다.<사진제공=문화재청>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