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근로자 평균 연봉 150% 수준이 적절"
![]() |
△ 발언하는 김영춘 비대위원 |
(서울=포커스뉴스) 부산 지역구에서 당선된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이 26일 "국회의원 세비를 삭감해서 국민에게 솔선수범의 자세를 보여주는 게 20대 국회가 해야 할 일"이라고 주장했다.
김 위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우리가 구조조정을 하자고 그러고 자칫 잘못하면 온 나라가 경제위기를 겪을 상황인데, 국회의 사람을 줄이거나 하는 구조조정은 어렵지 않겠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은 20대 총선에서 '국회의원 세비 30% 삭감'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그는 "내가 이 주장을 하게 된 것은 지금 국회의원들 세비가 너무 많다는 데서 출발한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 특히 내가 살고 있는 부산의 보통 시민들의 생활상이 너무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 현재 받는 국회의원 세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데서 시작한 고민"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가 과거 18대 국회의원 시절 받던 세비보다 (현재) 한 3000~4000만원 이상 더 올라가 있다"면서 "그 사이가 8년 간격인데, 이 8년 동안 우리나라 국민 평균 수입이 그만큼 늘었겠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사무실 운영비 지원까지 치면 국회의원 세비와 보좌진 급여, 운영비 지원 모두 합해서 연간 약 7억 정도 된다"고 말했다.
김 위원에 따르면 국회의원 본인이 받는 세비는 1억 4000만원 수준이며, 최대 9명(공식 보좌진 7명·인턴 직원 2명)까지 고용할 수 있는 의원식 직원의 급여액수가 5억원 가까이 된다.
그는 "내가 총선 전 30% 삭감을 이야기했을 때 우리나라 300인 이상 기업 근로자의 평균 월급이 약 500만원 정도 된다. 연봉으로 치면 6000만원"이라면서 "대개 300인 이상 기업을 대기업이라고 분류하는데 (국회의원 세비가) 대기업 근로자 평균 연봉의 한 150% 수준이면 적절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은 "후원금을 따로 모금할 수도 있다"고 덧붙이며 "선거가 없는 해는 1억 5000만원, 선거가 있는 해는 3억원까지 후원금을 모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비를 깎을 경우 검은 돈을 받지 않고 깨끗하게 정치하는 사람이 가장 타격을 받는다. 소수당 의원들이 타격을 받는다'는 지적에 대해서 김 위원은 "그런 경우 후원회 제도를 활용하면 된다"라면서 "소수당 의원들의 경우 특히 노동조합 등에서 소액 후원들이 많다. 대부분의 경우 후원금 한도를 채우는 의원들이 많다"고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
그는 "소수당과 다수당 의원의 차이는 아닌 것 같다"면서 "개인 재산이 별로 없는 의원들의 경우에도 현재 후원금 제도와 30% 삭감한 세비 수입을 갖고 충분히 정치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게 나의 판단"이라고 강조했다.김영춘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16.04.18 박동욱 기자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