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후쿠시마 겪고도 핵발전 포기 않는 인류 어리석어"
![]() |
△ 핵없는사회를위한공동행동 |
(서울=포커스뉴스) 환경단체 '핵없는사회를위한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이 26일 서울 광화문 KT 본사 앞에서 정부에 '신규원전 건설중단', '노후원전 가동중단' 등을 요구했다.
집회가 열린 26일은 체르노빌 핵발전소 폭발 사고가 일어난지 30년이 되는 날이다.
공동행동은 "30년 전 오늘 구 소련 체르노빌에서는 최악의 핵발전 사고로 기록된 참사가 일어나 수만 명이 사망했다"며 "그런데도 인류는 체르노빌의 교훈을 잊은 채 핵발전을 계속해왔고 그 결과 5년 전 후쿠시마에서는 또 한번 핵발전소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고 밝혔다.
이들은 옛 소련의 체르노빌과 일본 후쿠시마 사례를 지적하면서 탈핵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현영 집행위원장은 "30년 전 체르노빌, 5년 전 후쿠시마. 그 다음은 어디인가"라며 "제4위 원전대국이라 불리는, 안전 불감증이 만연한, 안전규제 후진국을 면치 못하는 바로 이 땅 대한민국에서 비극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도 "체르노빌 사고 이후 핵의 위험성을 인식한 독일이 탈핵 국가가 되기까지 12년이 걸렸다"며 "후쿠시마 사고 이후 5년이 흘렀다. 한국은 독일보다는 빠르게 탈핵 국가로 나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를 위해서는) 20대 국회에서 탈핵 관련 법안이 발의되고 심도 있게 논의 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동행동은 탈핵의 대안으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제안했다.
이들은 "핵발전소 사고는 피해가 광범위하고 오랜 기간 영향을 미친다"며 "체르노빌을 교훈 삼아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확대해 핵발전을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동행동은 또 지난 14일 일본 구마모토 지진과 관련해 일본정부에 인근 지역 핵발전소의 가동 중단을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구마모토 지역 인근에는 센다이핵발전소와 이타카 핵발전소가 있어 일본에서도 원전 가동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공동행동은 지금까지 모인 서명은 이날 일본 대사관에 전달하고 앞으로도 계속 서명을 받아 추후 일본 정부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환경단체 '핵없는사회를위한공동행동'이 26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핵발전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장지훈 기자 jangpro@focus.co.kr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