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중대재해 근절에 5백억 투입 '안전관리 대책' 마련

편집부 / 2016-04-25 11:09:49
안전 관련 예산 총 3000억원으로 대폭 확대…안전경영실·안전혁신 자문위원회 신설<br />
노조 및 협력회사와 상생·협력의 안전문화 구축
△ 안전점검_1.jpg

(서울=포커스뉴스) 현대중공업은 연이은 중대재해를 근절하고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안전관리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고 25일 밝혔다.

안전관리 종합 대책은 안전투자 확대, 안전조직 강화, 안전교육 확대와 제도 개선, 상생과 협력의 안전문화 구축 등 4가지를 담았다.

먼저 노후시설 교체를 포함한 안전시설 투자에 500억원을 추가로 투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재 안전보호용품, 안전교육, 종업원 건강검진과 보건활동 등에 투입되는 현대중공업의 안전 관련 예산은 5년간 25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늘어난다.

다음으로 안전조직을 대폭 강화한다. 현재 경영지원본부 소속인 안전환경부문을 독립조직인 안전경영실로 개편해 그 책임자를 본부장급 이상으로 격상시킬 예정이다. 신설되는 안전경영실은 회사 전체의 안전에 관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갖고, 안전 관련 모든 업무를 강력하게 집행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각 사업본부의 세부적인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안전담당 부문을 사업 대표 직속 조직으로 운영해 각 사업 대표가 본인의 사업본부 안전을 직접 챙기도록 했다. 안전 관련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안전혁신 자문위원회'도 설치해 주기적으로 안전의식 개혁과 혁신방안에 대한 진단과 제안을 듣고 이를 안전 정책에 적극 반영키로 했다.

또한 안전교육을 확대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한다. 특히 심리불안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인맞춤형 상담 프로그램'과 산재사고 근로자들의 심리치료를 위한 '재난심리 회복지원 프로그램'을 새롭게 운영한다.

아울러 안전수칙 위반에 대한 징계와 사고 예방 포상을 강화하고, 1박2일의 집중적인 안전교육 과정인 '안전아카데미'를 신설할 계획이다.

노조 협력회사 간 상생·협력의 안전문화도 구축한다. 대표이사 회장과 사장의 일일 현장 점검과 함께 노조대의원과 생산담당 중역이 노사 합동으로 매일 한 시간씩 현장을 돌며,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각 협력회사에 안전관리 전담자를 의무적으로 배치하고, 안전인증 획득을 지원함으로써 협력회사의 안전관리도 크게 강화할 방침이다. 동시에 안전의식 개혁을 위한 '작은 안전 실천운동'을 전개하고, 안전 위험요소를 신고하는 '안전 콜센터'를 운영하는 등 안전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다.<사진제공=현대중공업>

[ⓒ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WEEKLY HOT

SNS